“일부 언론 보도대로 약정이 그러하다면 위약금이라도 주고 해임해라.” 64년 만에 아시안컵 우승을 노린 한국 축구 대표팀의 도전은 준결승전에서 좌절됐다. 2월 7일 카타르에서 열린 경기에서 한국은 요르단에 0-2로 완패하면서 거센 후폭풍에 휘말렸다. 클린스만 감독을 경질해야 한다는 여론도 들끓었다. 한 지자체장이 SNS에 올린 주장은 많은 공감을 얻으며 언론에서도 크게 화제가 됐다.
조사와 어미 엄격하게 사용해야
그런데 이 표현 “위약금이라도 주고 해임해라”는 잘 들여다보면 좀 이상하다. 마치 이미 해임은 결정됐는데, 그냥 해임하는 게 아니라 ‘위약금이나마 주고 해임하라’는 뜻으로 읽힌다. 진행되는 상황을 다 가리고 문장만 놓고 보면 그렇다는 얘기다. 모국어 화자라면 대부분 그렇게 받아들일 것 같다. 그렇다면 이 말은 틀린 표현이다. 이보다는 “~약정이 그러하다면 위약금을 주더라도 해임해라”라고 하는 게 정확한 말일 것이다. 당시 정황상 그리고 문맥상 ‘어차피 해임해야 할 상황인데 위약금을 주는 한이 있더라도 해임하라’는 뜻으로 한 말이다.같은 한국말을 쓰는 한국인끼리도 언어의 학습 정도와 경험에 따라 우리말 사용 양태가 서로 다르다. 어휘에 대한 어감도 사람마다 차이가 있다. 이른바 ‘커뮤니케이션 노이즈(잡음)’에 해당한다. 미세한 듯하지만 그런 잡음이 모이고 쌓여 정확한 의미 전달을 방해한다. 의미 해독에 차이가 있다 보면 같은 말을 주고받았으면서도 서로 다르게 이해하는 결과를 낳는다. 커뮤니케이션 실패인 셈이다.
그래서 글쓰기를 비롯해 의미를 주고받을 때는 이 ‘잡음’을 최대한 줄여야 한다. ‘문법’을 배우고 구사해야 하는 것은 그 때문이다. 발화자와 수신자, 또는 글쓴이와 읽는 사람 간에 의미소통의 괴리와 왜곡을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는 게 ‘문법’이다. 쌍방 간에 문법을 올바로 구사함으로써 메시지를 작성해 보내고, 해독해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지난 일 나타내는 다양한 ‘-더’형 어미
그런 점에서 이 문구를 살펴보자. ‘위약금이라도 주고’와 ‘위약금을 주더라도’ 사이에는 엄청난 의미 차이가 있다. 우리말은 조사와 어미가 잘 발달해 있다. 그에 따라 미세한 의미 차이가 생긴다. 그것을 잘 구별해야 의미를 정확히 전달할 수 있다는 뜻이다. 두 말은 문법 요소부터 다르다. 우선 ‘-이라도’는 보조사다. 명사 등 체언 뒤에 붙는다. 어떤 것이 썩 좋은 것은 아니지만 그런대로 괜찮음을 나타낸다. 그것이 최선의 것이 아니라 차선의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어디 여행이라도 다녀오세요.” “밥이 싫으면 라면이라도 먹어라.” 이런 게 전형적 쓰임새다. 아주 만족스럽지는 않으나 아쉬운 대로 그것을 선택한다는 뜻이다. 앞말에 받침이 있으면 ‘-이라도’, 받침이 없으면 ‘-라도’가 붙는다. 그러니 ‘위약금이라도 주고 해임하라’라고 하면 어차피 해임할 거면 위약금은 주고 하라는 뜻이 된다.이에 비해 ‘-더라도’는 가정이나 양보의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다. 동사·형용사 등 용언에 붙는다. ‘-어도’보다 그 뜻이 강하다. “무슨 일이 있더라도 반드시 성공해야 한다”처럼 가정해 말할 때 쓴다. ‘위약금을 주더라도’라고 하면 ‘설령 위약금을 주는 한이 있어도’라는 뜻이다.
간혹 ‘-더라도’를 비슷한 발음으로 ‘-드라도, -드래도’라고 하기도 하나 ‘-더라도’만 표준어로 삼았다. 이는 비슷한 발음이 몇 가지 형태로 쓰일 경우 그 의미에 아무런 차이가 없고 그중 하나가 더 널리 쓰이면, 그 한 형태만을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정에 따른 것이다(표준어 규정 2장 4절 제17항 단수표준어). 이 외에도 우리말에는 ‘-더’형 어미가 여러 개 있다. ‘-더라’를 비롯해 ‘-더니, -던, -던가, -던데, -던지, -던걸’ 등이 그것이다. 이들은 모두 지난 일을 말하는 형식으로, ‘-더’가 결합한 형태를 쓴다. ‘-드라, -드니, -든, -든가, -든데, -든지, -든걸’처럼 ‘-든’형을 쓰지 않는다는 뜻이다. 한글맞춤법 제56항 규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