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자산 기준으로 유럽 최대 은행인 HSBC 세전 이익이 지난해 4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80% 고꾸라졌다. 중국 상업용 부동산 투자로 4조원 가까운 손실을 본 탓이다. 스탠다드차타드(SC)에 이어 HSBC까지 중국 시장 노출 비중이 큰 글로벌 은행의 자금 사정이 빡빡해지고 있다. 중국 경기 침체가 세계 금융업계에 부담을 주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교통은행 지분 대규모 상각
HSBC는 21일(현지시간) 지난해 4분기(10~12월) 세전 이익이 10억달러(약 1조3000억원)로, 51억달러 수준이던 전년 동기 대비 80%가량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중국 6위 국유은행인 중국교통은행 지분이 대규모로 상각 처리된 영향이 컸다. HSBC는 20년 전 처음 교통은행 지분 약 20%(현재 19.03%)를 17억5000만달러에 사들였다. 이 주식의 장부가치를 239억달러(지난해 8월 기준)까지 높였다가 중국 성장 둔화에 따라 이번에 30억달러(약 4조원)를 상각했다.
교통은행은 중국 부동산시장에 대한 익스포저(위험 노출도)가 큰 편이다. 전체 수익의 약 29%(2022년 기준)가 아시아에서 나오는 HSBC는 중국 내 상업용 부동산시장 불안에 대비하기 위한 대손충당금을 기존 대비 2억달러 많은 10억달러까지 늘렸다. 중국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FDI)액이 1993년 이후 가장 적은 330억달러(약 44조원)에 그쳤다는 소식도 HSBC엔 악재라고 파이낸셜타임스(FT)는 평가했다.
HSBC는 프랑스 소매금융 부문을 매각하는 과정에서도 20억달러(약 2조7000억원)의 추가 손실을 냈다. 이 밖에 아르헨티나와 멕시코에서 각각 초인플레이션과 무담보 대출로 인한 손실이 5억파운드(약 8403억원), 3억달러(약 3988억원)씩 발생했다.
영국 온라인 투자 플랫폼 인터랙티브인베스터의 리처드 헌터 시장 담당은 “중국 경제 전반, 특히 부동산시장 둔화는 올해 내내 악재로 작용할 것”이라며 “미국 영국 등 주요국의 금리 인하 물결이 핵심 성장동력을 갉아먹을 우려도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중국 투자 건을 빼놓고 보면 고금리에 따른 수혜가 있었다. HSBC의 지난해 연간 세전 이익은 사상 최대 수준인 300억달러(약 30조원)다. 전년 대비 78% 불어났다. 순이자마진(NIM)도 전년보다 0.24%포인트 오른 1.66%였다. 그러나 연말 실적이 고꾸라진 탓에 세전 이익이 시장 예상치(340억~341억달러)에 못 미쳤다. 자기자본수익률(ROE) 역시 전년(10%)보다 오른 14.6%였지만, 애널리스트 전망치(17%)를 밑돌았다.
이날 런던증시에서 HSBC는 전 거래일보다 8.39%(54파운드) 내린 589.80파운드에 마감했다. 낙폭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변동성이 커졌던 2020년 4월 이후 최대다.
○월가 등돌렸는데…中 투자 고수
중국 경기 침체로 타격을 입은 글로벌 은행은 HSBC뿐만이 아니다. 경쟁사 SC도 중국 톈진의 상업은행인 보하이은행 투자(지분 16%)로 작년 3분기 7억달러(약 9304억원)의 상각 손실을 냈다. 실적 발표 직후 런던증시에서 SC 주가는 최대 12.8%까지 내려앉았다.뱅크오브아메리카, 씨티그룹, 골드만삭스 등 미국계 은행들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하나둘 중국 시장에서 발을 뺐다. 그러나 유럽계인 HSBC와 SC는 대중국 익스포저를 유지했다. 주요 수익 창출원인 아시아 시장에서 입지를 공고히 하기 위해선 중국을 포기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였다.
이들 은행의 대중국 전략은 최근의 거시경제 변화 양상을 세밀히 반영하지 못한 관성적 결과라는 비판이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HSBC가 산출한 교통은행의 장부가치 239억달러가 시장가치보다 무려 145억달러나 많았다고 지적했다. 지분가치 상각과 이에 따른 실적 악화는 오래전부터 예견된 일이었다는 분석이다. 상각 이후에도 여전히 장부가와 시장가 간 격차가 124억달러에 달한다고 WSJ는 전했다.
장서우 기자 suw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