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01.24

  • 20.61
  • 0.83%
코스닥

677.01

  • 3.66
  • 0.54%
1/3

[한경에세이] 서울을 살리는 인재, 인재로 성장하는 서울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2월에 국내 대학들은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등으로 분주하다. 필자는 33년째 대학에 봉직하고 있다. 학생들을 우리 사회가 원하는 인재로 길러내야 한다는 책임감은 해마다 무거워진다.

대학의 인재 양성은 정부 정책과 긴밀하게 맞물려 있으므로 정책의 적절성과 책무성은 매우 중요하다. 2023년 2월 인구 소멸과 기술 급변에 대응, 인재 양성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대통령을 의장으로 하는 인재양성전략회의가 출범했다. 제1차 회의의 주제는 ‘지역을 살리는 인재, 인재로 성장하는 대한민국’이었다. 산학협력, 평생·직업 교육 등 기존에 중앙정부가 담당하던 고등교육 재정지원사업을 지역 주도로 전환하고, 예산 배분의 권한도 지방자치단체로 이관한다. 이는 지자체가 지역사회의 다양한 참여자들과 협력해 각 지역의 혁신 계획을 수립하고, 그 지역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해 변화를 추진하고자 하는 정책이다. 시범도시로 선정된 7개 지역은 ‘인재 도시’를 지향하면서 고등교육 장기 계획을 확립하고 인재양성재단을 설립하는 등 지역별 특색을 지닌다. 또 인재 양성과 산업혁신을 연계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전국에서 4년제 대학이 가장 많은 지역인 서울 역시 예외가 아니다. 서울은 그 자체로 대한민국의 경제와 산업의 중심이다. 혁신제조업, 첨단산업 위주로 경제산업 구조를 전환하기 위해서는 서울 소재 대학과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세계 5위 선도도시를 향해 나아가고 있는 서울시에 걸맞은 세계적 수준의 인재 양성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서울 고등교육 생태계 주체들과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

서울 경쟁력의 핵심인 서울 소재 대학들은 인재를 지속해서 배출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서울시가 플랫폼 역할을 하면서 산업계 및 대학이 공유와 협력을 기반으로 서울의 고등교육 생태계를 활성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서울시의 인재 양성 정책을 효과적으로 추진할 관련 조직의 정비가 필요하다. 현재는 창업을 중심으로 대학과 협력하고 평생교육을 담당하는 부서가 별도로 업무를 수행한다. 이 밖에 대학 캠퍼스 공간혁신을 위해 도시계획 규제 완화를 담당하는 팀 등이 있다.

서울시가 지향하는 인재 양성 정책을 총괄·조정하는 조직과 대학과의 협력을 담당하는 조직 등의 설치가 시급하다. ‘서울을 살리는 인재, 인재로 성장하는 서울’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서울 소재 48개 대학은 서울 경쟁력의 핵심이다. 대학과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서울시가 세계 5위 도시를 선도하는 인재를 양성하고, 이런 인재들을 통해 서울이 획기적으로 성장하고 도약하기를 기대한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