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중국 정보기술(IT) 업체 화웨이로부터 반도체 부품을 수급하는 중국 전기차 업체가 조업을 일시 중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웨이의 컴퓨팅 부품 납기가 지연되면서 나타난 결과다. 미국의 중국 제재로 인한 수급난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3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중국 내 소식통 5명을 인용해 최근 중국 완성차업체들이 주력 전기차 모델 생산에 차질이 빚어졌다고 보도했다. 모두 화웨이와 공급 계약을 체결한 업체들이었다. 화웨이와 함께 전기차 신규 모델을 제조하는 창안 자동차, 체리 자동차, 세레스 등은 로이터에 조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전기차 업체들의 납기가 지연된 이유는 화웨이가 생산하는 전기차용 컴퓨팅 부품인 'MDC 810' 수급난 때문이다. 이 장치는 첨단 운전 지원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해 활용된다. 화웨이가 자체 개발한 부품으로, 고속도로 자율주행, 교통 체증을 우회하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탑재했다.
그러나 납기 지연으로 완성차업체가 직격타를 맞았다. 창안 자동차의 플래그십 브랜드인 아바트르 12 세단 모델 2만여대가 평균 2주 정도 탁송이 지연됐다. 이 때문에 구매자 1인당 최대 1만 5000위안을 보상금으로 지불했다.
체리 자동차의 럭시드 S7 세단도 2만여대가량의 배송이 지연됐다. 보상금으로 1만 위안씩 지급했다. 세레스 자동차도 지난달 새로 출시한 아이토 M9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배송을 연기했다. 당초 지난달 26일 첫 구매자에게 신차를 인도해야 했지만, 이를 일시 연기한 것이다.
전기차 독립을 꿈꾸던 화웨이의 계획이 물거품이 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화웨이는 테슬라의 오토파일럿을 표방해서 MDC 810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기반으로 화웨이는 지능형 자동차 솔루션(IAS) 부문을 분사하려 했고, 창안자동차는 새 법인의 지분 40%를 인수하려 했다. 미국의 반도체 규제에 정면 승부하려 한 것이다.
시장에선 미국 정부가 사실상 판정승을 거뒀다는 평가가 나온다. 화웨이가 반도체 자립을 추진하며 차량용 반도체 개발에 나섰지만, 생산성이 예상보다 낮았다는 설명이다. 미국의 제재로 인해 수급난이 심화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지난해부터 미국 정부는 중국에 대한 첨단 반도체 수출 규제를 강화했다.
중국 당국은 이에 맞서 각종 인센티브와 보조금을 동원했다. 반도체 국산화 및 내재화를 지원하려는 취지다. 지난해 중국의 첨단 반도체 내재화율은 5%에 불과했다.
오현우 기자 o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