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36.52

  • 1.08
  • 0.04%
코스닥

839.98

  • 7.99
  • 0.96%
1/2

11일 만에 2300억 손실 '날벼락'…"은행권 '6조' 날릴 판"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11일 만에 2300억 손실 '날벼락'…"은행권 '6조' 날릴 판"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홍콩H지수가 급락하면서 연계 주가연계증권(ELS)의 올해 손실액이 2296억원까지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H지수가 현재 수준에서 회복되지 못할 경우 올 상반기 은행권 손실 규모가 6조원까지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 섞인 전망도 나온다.

21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 신한 하나 농협 등 4개 은행에서 판매한 홍콩H지수 ELS 가운데 지난 19일까지 3년 만기가 된 4353억원어치 상품의 평균 수익률은 -52.7%를 기록했다. 한 주 새 2.0%포인트 떨어졌다. 올해 첫 만기상환이 시작된 후 11일 만에 총 손실액은 2296억원까지 늘었다. 손실액이 예상보다 커진 것은 지난주 H지수가 급락한 탓이다. H지수는 일주일 새 6.47% 떨어지며 5100대로 주저앉았다. 최근 만기가 도래한 일부 가입자의 경우 확정 손실률이 56.1%에 달했다.

H지수를 기초로 한 ELS는 통상 3년 뒤 만기가 됐을 때 가입 당시보다 H지수가 65~70% 밑으로 떨어질 경우 하락률만큼 손실을 떠안는 구조다. H지수는 홍콩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 가운데 50개 종목을 추려서 산출한다. 2021년 2월 12,000선을 넘어섰던 H지수는 지난 19일 기준 57.65%나 고꾸라진 상태다. H지수가 5100대로 떨어진 것은 22년 11월 3일 이후 처음이다.

업계에선 올 상반기 만기액이 10조2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5일 기준 홍콩H지수 기초 ELS 총판매 잔액은 19조3000억원이다. 이 중 15조9000억원을 은행에서 판매했다. 전체 잔액의 79.6%인 15조4000억원의 만기가 올해 찾아온다. 특히 올 상반기(1분기 3조9000억원·2분기 6조3000억원)에 집중돼있다. H지수가 지금보다 30% 이상 오르지 않으면 손실액이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증권가에선 중국 부동산 경기 회복과 지방정부 부채 등 구조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H지수 상승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금 추세대로 손실률이 60% 수준까지 커질 경우 5대 은행에서 판매한 홍콩H지수 관련 ELS의 원금 손실 규모는 상반기에만 6조원을 넘어설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금융당국은 홍콩H지수 연계 ELS 주요 판매사 12곳(KB국민·신한·하나·NH농협·SC제일은행, 한국투자·미래에셋·삼성·KB·NH·키움·신한투자증권)에 대해 현장검사를 실시하고, 불완전 판매 여부 등을 파악할 방침이다. 다음 달까지 현장검사를 마무리하고 3월 안에 보상 비율과 향후 재발 방지 정책 방향을 발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져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금융감독원에서의 현장조사가 설 연휴를 전후해서 마무리되고 금융위원회의 대책방안 수립이 마무리되면 보상 비율과 함께 발표할 계획”이라고 했다.

박재원 기자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