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양키캔들의 종류가 200개에서 150개로 줄었다는 사실을 눈치챈 소비자는 없을 겁니다." -크리스 피터슨 뉴웰브랜즈 최고경영자(CEO).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공급망 문제를 겪은 미국 소매유통업체들이 제품 수를 대폭 줄인 뒤, 팬데믹 종료 이후에도 이를 회복하지 않았다는 분석이 나왔다. 기업들은 소비자들이 제품 수 감소에 크게 반감을 갖지 않자 비용 절감 차원에서 제품 라인을 줄이고, 신제품도 덜 출시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식료품, 건강·뷰티 제품, 가구 등에 이르기까지 소매유통업계 전반에 걸쳐 판매 제품 수가 급감했다고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시장조사기관 서카나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내 뷰티, 신발, 장난감 등 상품 카테고리에서 신제품이 매장 내 제품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2%로 집계됐다. 2019년의 5%보다 절반 이상으로 줄었다.
대표적으로 코카콜라는 2022년 기존의 400여개에 달하던 음료 종류를 절반 수준인 200여 개로 축소했다. 성장이 둔화한 브랜드를 모두 없앤 것이다. 코카콜라의 제임스 퀸시 CEO는 지난 2022년 "더 좋은 식물이 자라도록 정원을 가지치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타미힐피거와 캘빈클라인 등 브랜드를 보유한 의류기업 PVH는 2020년 제품 수의 20% 이상을 줄여 인기 있는 제품에만 집중하는 방안을 추진했다.
화장지 제조사 킴벌리클라크는 2020년 팬데믹 기간 중 미국 내 화장지 수요가 4배가량 급증하면서, 개별 소매업체를 위해 만든 맞춤형 제품들을 폐기하는 등 화장지 제품 수의 70% 이상을 줄였다. 현재도 북미 지역에서 판매하는 제품 수는 과거 보다 약 30% 줄어든 상태다.
이는 지난해 이후 고금리와 원자재·인건비 상승이 이어지면서 미국 소비재 회사들이 수익성을 개선하기 위한 차원에서 유행하고 있는 현상이다. 식료품 회사의 경우 관리할 품목 수가 줄면 음식물 쓰레기 폐기물 처리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팬데믹 당시 소비자들의 수요가 몰린 일부 상품에만 우선순위를 공급 역량을 집중시킨 점도,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나게 된 배경이다.
가구 소매업체 말로프의 닉 젠슨 부사장은 "기업들에 공급망 충격은 고객 만족도를 해치지 않으면서도 제품라인을 조정해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테스트가 됐다"고 말했다.
이런 소비 현상은 제품의 혁신성을 떨어뜨리고, 다양성을 추구하는 소규모 브랜드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코카콜라에 인수된 유기농 음료 제조업체 어니스트 티의 설립자 세스 골드먼은 "팬데믹 이후 확실히 혁신이 줄었다"고 지적했다.
신정은 기자 newyear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