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11/01.35125707.1.jpg)
글로벌 사모펀드(PEF)들이 2년 전 상장했지만, 주가가 바닥을 기고 있는 회사들을 싼값에 되사들이고 있다. 공모 시장에서의 수익 창출이 여의치 않자 기업가치를 회복시키기 위해 택한 고육지책이라는 분석이다.
21일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스웨덴 EQT파트너스와 영국 신벤(Cinven), 미국 실버레이크 등 사모펀드들이 최근 몇 달 새 자신이 최대 주주로 있거나 상당량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는 상장사들을 매수했다.
기업공개(IPO) 시장이 역사적 호황을 누렸던 2021년에 상장된 이들 기업의 주가는 공모가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에서 형성돼 있어 매우 저렴하게 팔려나가고 있다는 설명이다. 당시 PEF들은 가치가 총 1400억달러(약 180조원)에 이르는 287개 기업을 공모 시장에 띄웠다.
일례로 EQT는 지난 8월 독일 소프트웨어 기업 수세(Suse)에 30억유로(약 4조2341억원)의 인수 가액을 제안했다. 이 회사가 2021년 4월 프랑크푸르트 증시에 24%의 지분을 상장할 당시 평가액의 절반 정도다. 현재 수세 주가는 공모가(30유로)의 3분의 1 수준(10.8유로·20일 기준)이다. 실적 악화와 이에 따른 유동성 저하가 주요인이었다. EQT는 이미 이 회사 지분 약 79%를 소유하고 있던 상태였다.
9월에는 신벤이 독일에 본사를 둔 글로벌 검진센터 신랩(Synlab)의 발행주식 전량을 재매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신랩 주가 역시 공모가(19.24유로)에 한참 못 미치는 10.8유로에 형성돼 있다. 신벤은 신랩 지분 40%를 보유 중이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11/01.35125708.1.png)
실버레이크는 10월 미 엔터테인먼트 업체 엔데버를 사모 시장으로 되돌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아리엘 이매뉴얼 엔데버 최고경영자(CEO)가 “엔데버의 시장가치와 내재가치 간 괴리가 지속되고 있으며, 주주가치 극대화를 위해 전략적 대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힌 직후 나온 발표다. 올해 들어 엔데버 주가는 22% 주저앉았다. 실버레이크는 이 회사 의결권의 71%를 장악하고 있다.
경쟁사가 주도하는 공개 매수에 참여하는 경우도 있다. 시장 전반의 거래를 촉진하고 주가를 띄우기 위해서다. 미 사모펀드 제너럴애틀랜틱은 자신이 뉴욕증시 상장을 주도했던 소프트웨어 기업 인게이지스마트의 지분 52%를 비스타에퀴티파트너스에 넘기기로 했다. 비스타 역시 지난 3월 블랙스톤이 이벤트 기획 관련 소프트웨어 업체 씨벤트(Cvent)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우선주 투자를 통해 12억5000만달러를 넣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11/01.35125716.1.jpg)
공모 시장에서 깎여나간 기업가치를 되살리기 위한 일환이다. 영국 로펌 클리포드챈스의 PE 부문 책임자인 크리스토퍼 설리번은 “사모 시장은 투자자들에게 정기적으로 조사 결과를 보고해야 하는 공모 시장보다 유연한 공간(이어서 구조조정 등에 용이하다)”이라고 말했다.
한 유럽계 PEF 임원은 “우리가 본 건 시작에 불과하며, 앞으로 분명히 더 많은 사례가 나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글로벌 사모펀드들은 영국 부츠 브랜드 닥터마틴스, 벨기에의 특수 화학제품 유통기업 아젤리스, 사이버 보안업체 익스클루시브네트웍스 등 주가 흐름이 지지부진한 기업 여러 곳의 지분을 여전히 들고 있다.
다만 재상장 리스크를 감수해야 한다는 점에서 이런 방식이 항상 선호되는 건 아니다. 한 PEF 업계 임원은 “공모 시장에 다시 상장하기 위해선 기업에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며, PEF는 이에 따른 압박을 고스란히 받게 될 것”이라고 짚었다.
장서우 기자 suw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