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올투자증권의 경영 정상화를 위해 추가 자금 투입이 필요하다면 경영진이 적극 대응해야 한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11/AA.35076160.1.jpg)
김 대표 측은 지난 4월 ‘차액결제거래(CFD) 사태’로 다올투자증권 주가가 폭락하자 지분 14.34%를 사들이며 2대 주주가 됐다. 최대주주인 이병철 회장 측(25.19%)과의 지분율 격차는 10.85%포인트다.
김 대표의 발언은 회사 경영 정상화를 위해 유상증자 등 자본 확충이 필요하다는 취지로 해석될 수 있다. 다만 그는 현재로선 추가 지분 매입 등 구체적인 계획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김 대표는 “회사 경영 상황을 파악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며 “가처분 절차를 통해 회사에서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아 분석한 뒤 경영 현황 개선을 위해 2대 주주로서 할 수 있는 일을 고민해보겠다”고 했다. 그는 회사에 추가로 자금을 투입할 여력이 없다는 증권가 관측에 대해선 “그건 걱정할 문제가 아닌 것 같다”고 했다.
김 대표는 지난 9월 다올투자증권 주식 보유 목적을 ‘일반투자’에서 ‘경영권 영향’으로 변경한 데 이어 이달 초 서울남부지방법원에 회계장부 열람 등사 가처분 신청을 제기했다.
박종관 기자 pj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