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11/01.34956330.1.jpg)
중국인의 한국 단체관광이 재개된 지 석 달이 돼가지만 면세업계는 좀처럼 그 영향을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 중국인 관광객의 소비 행태가 코로나19 창궐 전과 달리 실속을 챙기는 쪽으로 바뀌면서 매출 증가 폭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면세업계는 따이궁(보따리상)·단체관광객·개별관광객 등 다양한 형태의 중국 소비자 수요를 맞출 수 있는 상품 개편에 힘을 쏟고 있다.
1일 한국면세점협회에 따르면 지난 9월 국내 면세점의 매출은 총 1조805억원으로 전달(8990억원)보다 20.2% 증가했다. 중국인의 한국 단체관광 재개 등으로 외국인 이용자 수(63만8030명)가 전달(59만4385명)보다 7.3% 늘어난 영향이다. 전달과 비교하면 매출이 증가했지만, 팬데믹 이전인 2019년 9월 매출(1조9271억원)과 비교하면 56.0%에 불과하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11/AA.34953811.1.jpg)
업계에선 “중국인의 소비성향 변화를 고려해 상품전략을 달리해야 한다”는 말이 나온다. 과거엔 따이궁들이 중국에서 되팔기 편리한 고가 화장품을 조달하는 데 주력했다면, 이제는 구매자가 직접 사용하는 중저가 인기 상품을 소싱하는 데 힘을 줘야 한다는 얘기다.
신라면세점은 올해에만 50여 개 중저가 K뷰티 브랜드를 새롭게 유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미 40개 이상의 브랜드가 입점을 마무리했다. 서울 도산공원 인근, 성수동, 한남동 등 젊은 세대와 외국인의 방문 빈도가 높은 지역에 팝업스토어를 운영한 경험이 있는 브랜드를 눈여겨보고 있다.
단독 브랜드를 늘리는 것은 개별관광객을 유인하는 전략으로 업계에서 거론된다. 외국인이 주 고객인 면세점은 백화점과 달리 특정 업체에 대한 고객들의 충성도·선호도가 높지 않다.
이에 따라 다른 면세점에 입점하지 않은 단독 브랜드를 유치해 집객 효과를 극대화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배송이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따이궁과 여행객은 선호하는 상품과 구매 패턴이 다르다”며 “면세점들이 상품을 효율적으로 재구성하면 내년부터는 그 효과가 본격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경 기자 capit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