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97.82

  • 13.76
  • 0.49%
코스닥

840.44

  • 1.79
  • 0.21%
1/3

"뉴욕·도쿄·파리 길거리에 다 있는데 왜 서울만 없냐" 불만에…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뉴욕·도쿄·파리 길거리에 다 있는데 왜 서울만 없냐" 불만에…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현재 4956개인 서울 시내 쓰레기통이 2025년까지 7500개로 늘어날 전망이다.

뉴스1에 따르면 서울시는 올 연말까지 쓰레기통을 5500개까지 늘릴 계획이다. 이어 2024년에는 6500개, 2025년 7500개까지 쓰레기통을 확충하기로 했다.

서울 시내 쓰레기통은 1995년 1월 쓰레기 종량제가 도입된 후 매년 감소해 왔다. 1995년 7607개에 달하던 쓰레기통은 2023년 현재 4956개로 줄었다.

그러자 '길거리에 쓰레기를 버릴 곳이 없다'고 호소하는 시민이 늘었다. 2021년 서울시가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73.3%가 '쓰레기통이 적은 편'이라고 답했다. '쓰레기통이 많은 편'이라고 답한 비율은 1.5%에 불과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뉴욕이나 도쿄, 파리 길거리에도 모두 쓰레기통이 있는데 왜 서울에는 없느냐'는 민원도 접수됐다"고 설명했다.

새 쓰레기통은 광화문, 테헤란로, 여의도 등 유동 인구가 많은 지역과 함께, 버스 정류장 인근에도 설치된다. 서울시는 올해 7200만원인 쓰레기통 설치 예산을 내년에 두 배가량 증액해 각 자치구를 지원할 예정이다.

다만, 쓰레기통이 다시 늘어나면 쓰레기 무단 투기가 다시 늘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이인근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과거보다 시민 의식이 성숙해졌고, 서울시와 각 자치구가 머리를 맞대고 대책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