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10/01.34740027.1.png)
서울시가 앞으로 모든 정책 사업을 약자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설계하기 위해 ‘약자동행지수’를 개발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0일 서울시청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약자동행지수’를 10일 발표했다. ‘약자와의 동행’은 오세훈 2기의 핵심 시정 철학 중 하나인데 이를 구현하기 위해 지수를 개발한 것이다.
사회적 약자 개념을 반영한 지표가 없었던 건 아니다. EU사회적 배제지표, OECD 삶의 질 지수 등이 있지만, “빈곤율 등 거시적인 지표를 다뤄 정책 성과를 다루기엔 한계가 있다”는 게 서울시 측 설명이다.
도시가 자체적으로 추진 중인 정책 성과를 평가하는 지표로는 ‘약자동행지수’가 세계 최초다.
약자동행지수는 사회적 위험에 따른 일상의 영역을 생계, 주거, 의료, 교육문화, 안전, 사회통합 등 6개로 나눴다. 총 50개의 세부지표로 구성됐다. 세분화된 평가와 분석을 통해 사회적 위험을 조기 발굴하고 위기 사각지대를 해소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10/01.34740032.1.png)
우선 생계·돌봄 영역의 대표 지표는 위기가구 지원율, 안심소득 지원 가구의 근로 만족도, 영유아기 틈새돌봄 제공률 등 12개다. 취약계층이 자립하고 돌봄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안전망을 구축하는 것이 중점 과제다.
주거 영역은 주거비 부담 해소에 중점을 뒀다. 공공임대주택 재고 수, 주거취약계층의 주거환경 개선 규모 등 6개 지표로 구성됐다. 의료·건강 영역에선 아동·청소년 마음건강 지원, 자살고위험군 관리율 등 10개 지표를 반영했다.교육·문화에선 교육 소외계층 맞춤형 지원 규모, 취약계층 아동의 학습역량 수준 등 8개 지표로 평가한다. 이밖에 안전 영역과 사회통합 영역에는 각각 9개, 5개 지표를 반영했다.
시는 산출된 ‘약자동행지수’ 결과를 시정 운영 전반에 반영해 약자 관점에서 사업을 체계적으로 설계 운영하는 데 활용할 계획이다. 약자와의 동행을 선언한 2022년을 기준연도(100)로 삼아 각 영역 지표값의 상승 또는 하락 여부를 분석한다. 세부사업의 실적을 정량화된 지표로 평가해 예산 분배를 효율적으로 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약자동행지수’가 시민 삶의 질 개선을 확인하는 잣대로 활용될 수 있도록 매년 전문가와 시민 의견을 지속적으로 수렴하기로 했다. 신규지표 추가, 기존지표 보완 등 지수의 신뢰도와 정확성도 높일 예정이다.
오 시장은 “우리 사회에서 가장 어렵고 소외된 취약계층을 보듬고 배려하는 약자와의동행을 최우선 시정 철학으로 삼고 나아가겠다”며 "지수를 통해 모든 정책들이 약자 친화적으로 운영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최해련 기자 haery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