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10/AA.34688443.1.jpg)
보증 상품별로는 미분양대출 보증(준공 전) 실적이 가장 저조했다. 지원 목표는 5조원이었는데 단 한 건도 집행되지 않았다. PF 보증 실적은 목표 10조원의 39.8%인 3조9800억원이었다. PF 보증 내에서 ‘대환 PF 보증’이 상대적으로 활발하게 지원됐다. 공급 목표 1조5000억원 가운데 72.8%인 1조914억원이 집행됐다.
대환 PF 보증은 단기 PF-ABCP(자산유동화기업어음)를 장기 대출로 전환 지원하는 상품이다. 미분양대출 보증은 준공 전 미분양 발생 사업장에 사업비 보증을 지원하는 것이다. HUG는 이에 대해 “미분양대출 보증은 최근 분양률 상승 기대 등으로 관망 중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HUG가 PF 보증을 지원한 사업장 총 38곳(지원 대상 업체 25곳) 중 부진 사업장은 3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진 사업장 3곳의 보증 잔액은 1930억원이며, 이들 사업장의 분양 예정 가구는 1360가구다.
업계에선 정부가 지난달 26일 PF 보증 확대 등을 담은 공급대책을 발표했지만 실제 집행으로 이어지는 게 관건이라고 지적한다. 정부는 HUG와 한국주택금융공사(HF)의 보증 규모를 기존 15조원에서 25조원으로 늘리고, PF 대출 보증의 대출 한도를 전체 사업비의 50%에서 70%로 높이기로 했다. ‘시공사 도급순위 700위’로 돼 있는 PF 대출 보증 심사기준도 폐지한다.
업계에서는 사업성이 있는 PF 프로젝트를 적극 지원해야 주택 공급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고 강조한다. 김병욱 의원은 “정부는 PF 공공 보증 목표만 장밋빛으로 잡아 놓고 실적 관리는 안 하고 있다”며 “부동산 PF 보증 공급을 내실화하고 공급 실적도 늘려 건설사가 단기적 위기의 골짜기를 잘 넘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