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무용단이 지난 3년간 이어온 ‘홀춤’ 시리즈를 집대성하는 ‘온춤’ 공연을 선보인다. 2020년 ‘홀춤’, 2021년 ‘홀춤Ⅱ’, 지난해 ‘홀춤Ⅲ: 홀춤과 겹춤’에서 선보인 13편의 작품 중 9편을 다음달 1~3일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무대에 올린다.
온춤은 1인무인 ‘홀춤’과 2인무인 ‘겹춤’, 3명 이상이 합을 맞추는 ‘다춤’까지 다양한 형태의 춤을 아우른다는 의미다. 한량무 진도북춤 진쇠춤 살풀이춤 소고춤 신칼대신무 바라춤 사랑가 검무 등 전통춤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한 작품을 홀춤과 겹춤, 다춤의 형태로 선보인다.
눈길을 끄는 작품은 홀춤과 겹춤으로 시작해 이번 무대에서 다춤으로 확장된 네 편이다. 전통 검무를 재해석한 김회정의 ‘단심’은 2021년 독무로 초연했고, 지난해 여성 이인무로 무대에 올랐다. 이번엔 ‘단심, 합’이라는 제목으로 여성 6인, 남성 4인이 출연하는 혼성 군무로 변화한다. 김회정은 “10인의 무용수들은 춤으로 완벽한 ‘합’을 이루며 예인의 정성스러운 마음을 펼쳐내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충청지역 농악에 바탕을 둔 정관영의 꽹과리춤 ‘너설풀이’는 혼성 2인무에서 4명의 남성 군무로 확대된다. 승무 북가락과 진도북춤을 접목한 박재순의 ‘보듬고’는 2020년 독무로 선보였던 작품을 5명의 남성 군무로 키웠고, 바라를 치는 행위에 스며든 울림의 본질을 표현한 김은이의 ‘바라거리’는 독무로 초연한 작품을 6명의 남녀 혼성군무로 발전시켰다.
홀춤은 윤성철의 ‘산산수수’, 정소연의 ‘다시살춤’, 정현숙의 ‘심향지전무’ 등 세 편이 재연된다. 겹춤은 박기환과 박지은이 함께 안무하고 춤추는 ‘월하정인’과 황태인이 남산 자락을 노니는 젊은 선비 두 명의 재기발랄한 모습을 상상해 안무한 ‘산수놀음’이 무대에 오른다.
송태형 문화선임기자 toughlb@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