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 시기와 같은 초저금리가 되돌아오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제기됐다. 거시경제가 균형을 이루는 ‘중립금리’가 고물가와 미국 정부의 지출 확대 등의 영향으로 높아졌다는 이유에서다.
2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일부 경제학자는 인플레이션이 미국 중앙은행(Fed) 목표치인 2%로 회복되더라도 금리가 2020년 이전의 낮은 수준으로 돌아갈 수 있을지 의문을 제기하고, 이는 중립금리에 달려 있다고 지적했다.
중립금리는 경제가 과열되거나 침체되지 않고 잠재성장률을 달성하는 금리를 말한다.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자연스레 형성되는 금리로 올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보다 올라 0%대 기준금리는 다시 오지 않을 것이란 게 전문가 진단이다.
중립금리가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은 Fed가 연 5.25~5.5%의 높은 금리 수준을 유지하는데도 경제가 탄력성 있게 버티고 있어서다. 전 미국 재무장관인 래리 서머스 하버드대 명예교수는 지난 3월 중립금리를 근거로 2020년대를 고금리 시대로 내다봤다. 그는 “인플레이션 수준은 더 높아질 것”이라며 “(2020년대의) 중립금리는 연 1.5~2.0%로 오를 것”이라고 했다. Fed의 인플레이션 목표치인 2%를 더하면 실질금리가 연 4%대일 때 이상적이고 편안한 경제 상황이 유지될 것이란 관측이다.
Fed 내에서도 지난해보다 미세하나마 중립금리가 높아졌다고 보는 시각이 있다. Fed 위원 17명이 매 분기 장기금리 추정치를 발표하는데, 이는 잠재성장률이 유지되는 금리로 사실상 중립금리인 셈이다. 지난 6월 장기금리 추정치 중앙값은 연 2.5%로, 여기에 인플레이션 목표치인 2%를 빼면 실질 중립금리는 연 0.5%로 집계된다.
경제학자들은 중립금리가 오르는 주요 원인을 미국 정부의 지출 확대에서 찾고 있다.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 첨단산업 투자는 정부 지출의 대표 사례에 해당한다.
김인엽 기자 insi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