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영구 동토층이 녹으면 수만 년 전에 봉인된 고대 바이러스, 병원체의 봉인이 해제돼 생태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8일(현지시간) CNN은 핀란드 헬싱키대학교, 미국 미시간대학교 등 소속 국제연구진은 지난달 온라인 과학 저널 '플로스 전산 생물학'(PLOS Computational Biology)에 이런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영구 동토층은 토양 온도가 2년 이상 섭씨 0도 이하로 유지된 토양이다. 그린란드, 알래스카, 티베트고원 등 고지대나 고위도 지역에 분포돼 있다.
기후변화로 영구 동토층이 녹으면 이 지역에 수만 년 전에 묻힌 고대 바이러스, 병원체도 누출된다는 우려는 이전부터 제기됐다. 연구팀은 영구 동토층 밖으로 나온 고대 바이러스가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추적하기 위해 고대 바이러스와 현대 박테리아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디지털 모델링 방식으로 관찰했다. 시뮬레이션을 수만번 반복해 고대 바이러스가 현대 박테리아 군집의 종 다양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폈다.
연구에 따르면 고대 바이러스의 1%가 종 다양성을 최대 32% 감소시켰다.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고대 바이러스는 기존 생태계와 경쟁한 끝에 생존 및 번식에 성공했는데, 기생충처럼 숙주를 통해 에너지를 얻는 탓에 숙주로 이용된 일부 박테리아가 영향을 받으면서 종 다양성이 감소했다.
연구팀 수석 지오바니 스트로나와 논문 공동 저자인 코리 브래드샤우는 "고대 바이러스가 다시 깨어난다고 해서 인류가 즉각적으로 이 바이러스에 감염돼 생명에 위협을 받는다는 의미는 아니다"면서도 "기후변화로 인해 우려되는 상황이 늘어나는 건 맞다"고 말했다.
CNN은 앞선 연구에서도 고대 미생물이 수만 년 동안 휴면 상태였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전염성이 있다는 점이 증명됐다며 주요 분열을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1%라는 건 낮아 보이지만, 매년 400억개의 세포가 영구 동토층에서 분출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 수가 상당하다는 우려도 나왔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가 '경고'라기 보다는 '행동 촉구'에 가깝다고 의미를 전했다. "아직 경보를 울릴 필요는 없지만, 탄소 배출 제한과 같이 훨씬 더 통제할 수 있는 기후 위기 대책 시행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또한 영구 동토층 해빙은 기후 변화로 인해 더 자주, 일찍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하면서, 영구 동토층 해빙이 인간이나 동물 집단에 정확히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