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8/01.34188002.1.jpg)
정부가 올해부터 시범 운용되고 있는 늘봄학교를 내년부터 전국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돌봄과 교육을 제공해 학부모와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다는 판단에서다. 교육부는 늘봄학교 확산을 위해 대학에서 역할을 해줄 것을 당부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9일 2학기부터 늘봄학교를 시범 운영하는 충남 천안 불당초등학교를 방문해 “윤석열 정부 교육개혁 중에서 현장의 호응이 가장 뜨거운 분야가 늘봄학교”라며 “늘봄학교를 2025년까지 전국적으로 다 하기로 했는데 (이보다) 1년을 앞당기고자 한다”라고 밝혔다.
윤석열 정부 교육 분야 핵심 국정과제인 ‘늘봄학교’는 방과 후 교육활동을 내실화하고 돌봄의 질을 높여 교육과 돌봄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정책이다. 학부모의 돌봄 부담을 경감하고 출발점 시기의 교육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도입됐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8/01.34187995.1.jpg)
늘봄학교는 올해 1학기 5개 지역 214개 초등학교에서 시범 운영됐다. 2학기부터는 8개 지역, 400여개 초등학교로 시범 운영이 확대된다. 2025년부터 전국으로 확대하려고 했으나 이를 내년으로 1년 당기겠다고 발표한 것이다.
이 부총리는 “과거에는 오후 1시면 아이들이 집에 갔는데 늘봄학교는 오후 늦은 시간까지 방과 후 프로그램이나 초1 에듀케어 돌봄을 통해 아이들이 마음껏 뛰어놀기도 하고 좋은 새로운 프로그램을 듣기한다"며 "학부모님들이 안심하고 학교에 맡길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고 설명했다.
이 부총리는 늘봄학교 확산을 위해 지방자치단체, 대학의 협조가 필수적이라고 당부했다. 그는 "지역과 지역대학의 발전이 함께하는 다양한 모델이 있겠지만, 방과 후 돌봄 프로그램에 대학이 직접 참여해주시는 것도 굉장히 중요한 동반성장 모델 중 하나”라며 “좀 더 많은 대학의 참여가 활성화되면 초등학교 돌봄도 큰 계기를 맞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영연 기자 yy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