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89.50

  • 27.40
  • 1.03%
코스닥

850.75

  • 4.91
  • 0.58%
1/3

"한국은 기업들이 고통분담…'탐욕 인플레' 없었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한국은 기업들이 고통분담…'탐욕 인플레' 없었다"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세계적으로 나타난 ‘탐욕 인플레이션(greedinflation)’ 현상이 한국에선 없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과 유로지역 등에서는 기업이 가격을 크게 높여 많은 이윤을 가져간 것이 고물가의 원인이 됐지만 한국에선 이와 달리 기업이 고통 분담을 선택했다는 것이다.

한국은행 물가동향팀 장병훈·송상윤 과장, 임웅지 차장 등은 1일 한은 블로그에 게재한 ‘기업이윤과 인플레이션: 주요국과의 비교’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놨다. 장 과장 등은 소비자물가와 비슷한 흐름을 보이는 민간소비지출 디플레이터(가격변동지수) 상승률을 피용자보수(임금), 영업잉여(기업 이윤), 세금, 수입물가 등으로 분해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기여도를 확인했다.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4.4%의 민간소비지출 디플레이터 상승률 중 기업 이윤의 기여도는 -0.16%포인트로 나타났다. 물가 상승이 아니라 하락에 기여했다. 임금 기여도도 -0.01%포인트였다. 물가 상승을 이끈 것은 수입물가로 전체의 4.39%포인트가 해당했다.

이는 미국 및 유로지역과 크게 다른 것이다. 미국은 지난해 전체 민간소비지출 디플레이터 상승률 6.3% 중 3.73%포인트가 기업 이윤 증가에 따른 것이었다. 수입물가는 오히려 디플레이터를 낮추는 요인이었다. 유로지역은 작년 4분기를 기준으로 물가 상승의 절반가량이 기업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탐욕 인플레이션은 코로나19 팬데믹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을 거치며 원가 압박을 받은 기업이 제품 가격을 과도하게 높였고, 이것이 고물가의 원인이 됐다는 주장이다. 한은은 한국에서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나지 않은 이유로 글로벌 공급망 차질과 전쟁 영향을 덜 받았기 때문으로 봤다. 가계와 기업이 과도한 임금 및 가격 인상을 자제한 것도 영향을 줬다고 덧붙였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