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7/AA.34015952.1.jpg)
모아타운으로 지정되면 용도지역 상향과 용적률 인센티브, 공공건축가 설계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사업시행인가와 관리처분인가 절차를 통합 심의해 준공에 이르는 기간을 대폭 앞당길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관리계획안에 따르면 등촌동 515의 44 일대에는 2027년까지 총 2387가구가 공급된다. 이 구역은 화곡동 봉제산과 인접해 제1종 일반주거지역 및 자연경관지구로 묶여 있어 정비사업에 진척이 없었다. 서울시는 봉제산 주변 제1종 일반주거지역을 7층 이하, 제2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용도지역을 상향해 아파트 건축이 가능하도록 했다. 구역 전반에선 제2·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용도지역을 상향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자연경관지구 근처에 저층을 두고, 서울 지하철 9호선 등촌역에서 이어지는 등촌로39길 인근에 중·고층을 배치했다. 이 구역 남쪽엔 1653가구 규모 등촌아이파크가 들어서 있고, 북쪽엔 2026년 준공 예정인 등촌1구역(515가구)이 인접해 주거 환경이 대폭 개선될 전망이다.
모아타운 선(先)지정 방식으로 추진한 중화1동 4의 30 일대 등 4곳은 관리계획을 세우고 있다. 선지정 방식은 관리계획 수립 전에 대상지를 관리지역으로 우선 고시하고 향후 관리계획을 확정 짓는 방식이다.
박진우 기자 jw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