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07월 19일 09:22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최근 데이터센터 건립이 늘어나면서 수도권 집중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 데이터센터 147개 중 약 60%가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다. 국내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의 70%가 수도권에서 발생하고 있고, 이 상태로 가면 2029년에는 80%까지 치솟을 것으로 관측된다.
데이터센터가 수도권에 과도하게 집중되면 국가적 재난사태까지 초래할 수 있다. 이를테면 데이터센터 집중 지역에 화재나 지진이 발생할 때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IT 플랫폼 등이 먹통이 되는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아울러 수도권에 집중된 데이터센터에 대량의 전기를 끌어와야 하는데, 수도권에 이만한 전력 공급이 어려워 과도한 송전비용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비효율이 예상된다.
이에 정부도 데이터센터의 신규 건립을 비수도권으로 유도하면서 국가 전체적으로 전력공급 및 수요의 분산을 꾀하고 있다. 특히, 지난 6월 제정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 그 일환이다. 이 법은 △지역별 전력 자립화를 위한 분산에너지 설치 의무화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도입 △전력 수요의 지역 분산을 유도하는 전력계통 영향평가 제도 도입 등이 골자다. 이 법은 공포 후 1년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된다. 국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법이기에 실질적인 법 시행 전까지 철저한 대비가 필요할 것이다.
필자는 지난 칼럼을 통해 디지털 경제의 핵심 인프라인 데이터센터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디지털 경제는 IT산업은 물론, 에너지 환경, 그리고 금융산업에 이르기까지 우리 산업전반에 걸친 파급효과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이다. 이 같은 차원에서 데이터센터 등 디지털 인프라의 안정적 공급과 성장이 향후 국가 경제와 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향상하는 견인차가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따라서 단기적인 차원의 접근이 아닌 국가 차원의 중장기 전력수급계획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센터 부지 및 전력공급 로드맵이 필요한 시점이다. 데이터센터의 수요자와 공급자가 이를 바탕으로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명확한 로드맵이 없다면 데이터센터와 이에 수반한 전력 인프라 등 조성에 지역 불균형을 우려할 수밖에 없다..
이미 지자체들은 데이터센터를 지방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전략적 동반자로 보고 다양한 지원을 통한 유치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수도권에서 현실적으로 달성하기 어려운 RE100 등 글로벌 경제의 어젠다를 비수도권에서 좀 더 적극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겠다. 그렇다면 데이터센터 사업자와 수요자들이 비수도권으로 이전할 수 있는 명분과 실리를 함께 생기고, 지방 분산화는 조금 더 긍정적인 방향으로 진행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