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7/01.33921467.1.jpg)
'시간 대비 성능'을 뜻하는 시(時)성비가 일본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 정착으로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늘면서 시성비를 가장 따지게 된 분야가 가사다. 가사노동에 들어가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면 기꺼이 돈을 쓰겠다는 소비자가 늘었다.
이 때문에 유통업과 외식업이 가장 민감하게 시성비에 반응하고 있다.장 봐서 밥 해서 먹고, 설거지 하는 시간을 줄이려다 보니 우동을 흔들어 먹는 시대도 열렸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7/01.33921468.1.jpg)
일본의 우동 프랜차이즈 마루가메제면은 지난 5월16일부터 테이크아웃 전용 메뉴인 마루가메쉐이크우동(5종류, 390엔)을 판매한다. 이름 그대로 우동과 국물, 야채가 든 전용 용기를 흔들어서 먹는 우동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7/01.33921471.1.jpg)
집에 가서 먹는 테이크아웃이 아니라 사서 바로 먹는 우동이다. 일본은 길에서 걸어가면서 먹는 문화가 없는데 쉐이크우동은 사서 바로 먹는 우동, 걸으면서 먹는 우동, 즉 멀티(다중작업)가 가능한 우동 임을 강조한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7/01.33921472.1.jpg)
6월말에는 군마현 시부카와시에 드라이브스루 우동 가게를 처음 열었다. 차에 탄 채로 갓 만든 우동을 받아 신호대기 중에 한 젓가락씩 먹는, 즉 운전하면서도 먹을 수 있는 우동이다.
시성비는 일본인의 주식 카레 조리법도 바꿔놓고 있다. 냄비에 졸이는 전통 조리법 대신 프라이팬에 굽는 제품의 점유율이 10%까지 늘었다. 졸이는 대신 구우면 조리 시간을 절반 이하로 줄일 수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7/01.33921481.1.jpg)
키코만은 조미료의 계량과 설거지가 필요 없는 초간단 조미료의 비중을 매년 늘리고 있다. 소스가 든 봉지 형태의 용기에 자른 고기를 넣은 뒤 전자레인지에 돌리기만 하면 반찬 1개가 완성된다.
가전제품 시장도 시성비가 탁월한 상품이 주도하고 있다. 전자제품 대리점에는 유명 메이커는 물론 신흥기업들이 앞다퉈 자동 조리냄비를 내놓고 있다. 자동 조리냄비의 마케팅 포인트는 시간 단축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7/01.33921482.1.jpg)
일본 중소기업 아이넥스의 전기냄비는 '볶기' '조리기' '찌기' 등 냄비 하나로 9가지 조리법이 가능하다. 파스타도 면과 재료를 한꺼번에 넣고 버튼 한 번 누르면 10분 만에 완성이다. 면 따로 소스 따로 만드는 전통 파스타 조리법은 시간도 많이 걸리고 설거지 거리도 늘기 때문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7/01.33921483.1.jpg)
유통 대기업의 기업 인수·합병(M&A) 전략도 시성비와 가사시간 절약에 맞춰지고 있다. 아마존닷컴이 일본에서도 인기가 높은 로봇청소기 룸바의 제조사 마이로봇과 일본 화장품 평판(口コミ) 사이트 '@코스메'를 인수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로봇 청소기와 화장품 평판 사이트 인수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소비자의 생활 시간을 줄여주는 투자다. 아마존은 룸바를 인수하면서 "가사시간으로부터의 해방"을 선언했다. @코스메 같은 평판 사이트 역시 무수한 상품들 사이에서 결정장애에 빠진 소비자들이 선택하느라 고민하는 시간을 아껴준다.
도쿄=정영효 특파원 hug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