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운명을 바꿔놨다. 코미디언 출신의 검증되지 않은 정치인은 위기의 조국을 승리로 이끌 강인한 전사 지도자로 탈바꿈했다. 조지. W.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이 "우리 시대의 윈스턴 처칠"이라고 표현할 정도다.
전쟁이 끝나면 그의 리더십은 어떻게 될까. 2022년 7월 키이우 국제사회학연구소 여론조사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국민 65%가 젤렌스키 대통령을 전쟁을 승리로 이끌 적임자라고 판단하는 데 반해 전후 재건을 이끌 지도자라고 본 이는 55%에 불과했다.
포린어페어는 4일(현지시간) "전쟁이 마침내 끝나면 젤렌스키는 큰 도전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며 젤렌스키 대통령의 향후 행보를 분석했다.
포린어페어는 젤렌스키 대통령의 첫 번째 과제로 '애국심과 통합감의 창출'을 꼽았다. 러시아의 침공으로 우크라이나인들이 하나로 뭉쳤지만, 전쟁으로 형성된 통합감은 전쟁이 끝나면서 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전쟁 전까지 우크라이나 사회 발전을 가로막았던 연고주의, 뇌물, 부패 등의 폐습이 부활할 수도 있다고 포린어페어는 분석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7/01.33885307.1.jpg)
젤렌스키 대통령이 높은 인기의 함정에 빠질 수도 있다. 국가 재건을 위해 지지자들을 등에 업고 스스로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한 유혹에 사로잡힐 수 있다는 분석이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지난해 2월 민영 텔레비전을 단일 국영방송사로 통합했다. 러시아와의 전쟁을 위해 불가피한 조치라는 게 우크라이나 정부의 설명이지만, 싱크탱크와 비영리단체들은 전쟁 뒤에도 젤렌스키 대통령이 이러한 조치를 유지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전쟁 과정에서 '우크라이나인'이라는 정체성이 지나치게 강해진 나머지 배타적 민족주의가 기승을 부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포린어페어는 "시민의 의무와 국가에 대한 애착을 무엇보다 우선시하는 시민적 국가 정체성의 부상은 우크라이나 독립의 위대한 업적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국가 정체성을 민족 정체성과도 연결시키는 배타적 민족주의가 나타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아울러 이러한 흐름을 이용해 '분열의 정치'를 추구한 사례로 유럽 극우주의 일부 정당들을 언급했다.
김인엽 기자 insi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