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04.67

  • 1.61
  • 0.06%
코스닥

694.39

  • 2.39
  • 0.35%
1/3

삼성·LG·소니 '마이크로 OLED' 각축전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마이크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개발을 놓고 삼성 LG 소니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애플이 혼합현실(MR) 헤드셋용 디스플레이로 마이크로 OLED를 채택하면서 관련 시장이 빠르게 커질 것으로 전망돼서다. 마이크로 OLED는 초소형·고화질 디스플레이로 반도체처럼 실리콘 웨이퍼 위에 만드는 게 특징이다. 디스플레이업계에선 마이크로 OLED가 반도체 수준의 핵심 소재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MR 기기 시장 개화로 급성장
3일 디스플레이업계에 따르면 애플이 지난달 5일 공개한 MR 헤드셋 ‘애플 비전 프로’(사진)에는 마이크로 OLED를 적용했다. 사람의 눈과 맞닿는 부분에 우표 크기 정도의 마이크로 OLED를 장착했다. 비전 프로에 사용한 마이크로 OLED는 소니가 개발했다.

대각선 길이 3.3㎝(1인치) 안팎 크기인 마이크로 OLED엔 3000개 이상의 화소(픽셀)가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픽셀 밀도는 프리미엄 스마트폰용 OLED 디스플레이의 여섯 배 수준이다. 고화질로 마치 30m 폭의 화면을 보는 듯한 몰입감을 느낄 수 있는 게 특징으로 꼽힌다.

마이크로 OLED는 실리콘 웨이퍼에 유기물을 증착하는 방식으로 제조하기 때문에 ‘올레도스’(OLEDoS·OLED on Silicon)로 불린다. 소니는 반도체 제조에 강점이 있는 대만의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업체 TSMC와 협업해 애플 비전 프로용 마이크로 OLED를 개발·생산한 것으로 전해졌다.

마이크로 OLED는 고부가가치 디스플레이로 꼽힌다. 해외 정보기술(IT) 전문 매체 등에 따르면 애플 비전 프로의 원가는 1500달러 수준으로 추산되는데 이 중 46.7%인 700달러가 마이크로 OLED 비용인 것으로 분석됐다.

MR 기기 시장이 커지면서 덩달아 마이크로 OLED 시장도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는 세계 MR 관련 시장이 올해 69억달러(약 9조원), 2027년엔 200억달러(약 26조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MR 기기의 글로벌 판매 대수가 2023년 5000만 대에서 2025년 1억5000만 대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했다.
○LGD, SK하이닉스와 연합
국내 기업들도 마이크로 OLED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2024년 양산이 목표다. 최주선 삼성디스플레이 사장(CEO)은 지난해 8월 열린 한 디스플레이 행사에서 “마이크로 OLED와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 등 마이크로 디스플레이에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지난 5월엔 마이크로 OLED 원천기술을 가진 업체 이매진을 2억1800만달러(약 2850억원)에 인수했다. 최근엔 국내 장비업체에 마이크로 OLED용 증착 장비를 발주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마이크로 OLED 개발을 위해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와의 협업을 모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LG디스플레이도 마이크로 OLED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LG디스플레이는 설계에 강점이 있는 LX세미콘, 반도체 기업 SK하이닉스와 협업 중이다. 올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3’에선 마이크로 OLED 시제품을 공개했다. LG디스플레이는 이미 애플 비전 프로의 외부 OLED 디스플레이를 공급 중이다. 업계에선 애플의 차기 제품에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의 마이크로 OLED가 소니 제품과 함께 내부 디스플레이로 채택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마이크로 OLED 정부 지원 필요
기업들 사이에선 OLED 산업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달 29일 박완주 의원(천안을·무소속) 주최로 열린 ‘12대 국가전략기술 전문가 연속 간담회’에서 기술 유출 방지 대책 강화와 마이크로 OLED에 대한 지원을 요청했다. 강정태 삼성디스플레이 상생협력센터장(부사장)은 “OLED가 액정표시장치(LCD)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앞으로 2~3년이 중요하다”며 “기술 유출에 대해서도 반도체만큼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LG디스플레이는 △연구개발(R&D) 지원 △정책금융 지원 확대 △조세특례제한법의 유연한 적용 등을 제시했다. 신성필 대외협력·ESG 상무는 “조세특례제한법의 경우 기존 제도 설계가 조세 환급 형태로만 돼 있고 이익을 못 내는 기업은 환급받을 재원이 없어 한계가 있다”며 “중요한 산업에 대해선 유연한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