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AA.33684111.1.jpg)
매년 최대 실적을 경신하고 있는 롯데렌탈 최진환 대표(사진)가 지난 9일 서울 선릉 사옥에서 한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강조한 말이다. 지난 2월 이 회사 최고경영자(CEO)에 선임된 뒤 언론사 인터뷰를 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최 대표는 “올해 우리가 잘하는 것에 집중하겠다”며 “우선 중고차 렌털 사업과 상용차 시장 확장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말을 꺼냈다. 국내 차량 비중은 승용차 75%, 상용차 25%로 이뤄져 있다. 신차와 중고차 비중은 각각 40%, 60%다. 그동안 롯데렌탈은 신차 승용차 시장에만 집중해 왔다. 아직 성장성이 큰 나머지 중고차 렌털과 상용차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AA.33684955.1.jpg)
최 대표는 “중고차와 상용차는 진입장벽이 있는 만큼 승산이 있다”고 말했다. 차량관리 전문 계열사 롯데오토케어와 연계해 대손 비용을 줄이는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 영업 강화를 위해 중고차 온라인몰도 곧 연다. 최 대표는 “브랜드명을 고민 중이며, 이달 하순 선보이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해외 시장 진출도 적극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다. 현재 태국과 베트남 법인이 있는데,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시장 진출도 고려 중이다.
산업용 장비와 로봇 렌털 사업도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세계 3대 산업장비 제조사인 영국 JCB와 총판 계약을 맺었다. 롯데렌탈은 고소작업대(일종의 사다리차), 텔레핸들러, 텔레트럭, 텀프스터 등 총 4종의 JCB 장비를 국내에 독점 공급한다. 2019년엔 국내 최초로 서빙 로봇 렌털을 시작했는데 자영업자들의 입소문을 타고 있다. 그는 “태양광 패널 닦는 로봇, 창문 닦는 로봇 등 B2B(기업 간 거래) 사업도 구상 중”이라고 말했다.
최 대표는 주가 얘기도 꺼냈다. 공모가 대비 주가가 반토막 난 것에 대해선 “먼저 주주들과 직원에게 죄송하다”고 했다. 그는 “영업이익·자기자본이익률·고객 수 등 모든 부문에서 10% 이상 성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또 “배당성향의 변동은 있겠지만 실적이 매년 꾸준히 좋아지고 있어 올해 배당금은 지난해보다 30% 이상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글·사진=윤현주 기자 hyunj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