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AA.33652861.1.jpg)
글로벌 보안업체 시스코는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컨벤션센터에서 ‘시스코 라이브 US 2023’을 열고 생성형 AI를 활용해 클라우드 기반 보안 서비스를 개선하는 방안을 소개했다.
기업의 보안 정책을 최적화할 수 있는 생성형 AI 어시스턴트(조수)가 이날 발표의 핵심이었다. AI 어시스턴트가 기업의 보안 정책을 분석하고 약점을 보완한다. 방화벽을 생성하는 업무도 함께 담당한다. 회사 관계자는 “고객사의 보안 규칙을 들여다본 뒤 기존의 제어 기능은 유지하면서도, 불필요한 부분을 없앤다”며 “이 작업을 되풀이하면 효율적으로 방화벽을 개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보안정책 최적화 서비스는 올해 하반기 제공될 예정이다.
실시간으로 보안 위협을 감시하는 파수꾼 역할도 맡게 된다. 이메일과 웹사이트 그리고 네트워크 전반의 상황을 맥락적으로 분석해 보안 애널리스트에게 보고하는 것이 첫 단계다. 이후 그동안 학습한 보안 지식을 활용해 적절한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 애널리스트와 상호 작용하고 추론하면서 최적의 대응 방안을 함께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이 기능은 올해 하반기부터 내년 초까지 일반에 공개될 예정이다.
시스코는 이날 사용자가 장소 또는 기기에 관계없이 클라우드를 통해 원하는 앱에 접속할 수 있는 ‘시스코 시큐어 액세스(CSA)’를 공개했다. CSA를 활용하면 기업이 사용하고 있는 클라우드 전반의 다양한 도구를 통해 발생하는 트래픽을 한눈에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 클라우드를 단일 관리 시스템 아래 두기 때문에 더욱 효율적이며, 비용도 줄일 수 있다. 시스코의 보안 전문 조직 ‘탈로스’가 클라우드 보안 수준을 높여준다.
라스베이거스=서기열 특파원 phil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