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vg version="1.1" xmlns="http://www.w3.org/2000/svg" xmlns:xlink="http://www.w3.org/1999/xlink" x="0" y="0" viewBox="0 0 27.4 20" class="svg-quote" xml:space="preserve" style="fill:#666; display:block; width:28px; height:20px; margin-bottom:10px"><path class="st0" d="M0,12.9C0,0.2,12.4,0,12.4,0C6.7,3.2,7.8,6.2,7.5,8.5c2.8,0.4,5,2.9,5,5.9c0,3.6-2.9,5.7-5.9,5.7 C3.2,20,0,17.4,0,12.9z M14.8,12.9C14.8,0.2,27.2,0,27.2,0c-5.7,3.2-4.6,6.2-4.8,8.5c2.8,0.4,5,2.9,5,5.9c0,3.6-2.9,5.7-5.9,5.7 C18,20,14.8,17.4,14.8,12.9z"></path></svg>[사진issue] '중림동 사진관'에 쓰여진 기사는 한국경제신문 지면에 반영된 기사를 정리했습니다.
"전쟁난 줄" 새벽 발칵 뒤집은 '경계경보'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01.33617952.1.jpg)
북한이 지난달 31일 군사정찰위성을 실어 발사한 로켓(천리마-1형)이 엔진 고장으로 서해 어청도 서쪽 바다에 추락했다. 북한은 발사 2시간30여분 만에 ‘군사정찰위성 발사 중 사고가 났다’며 실패 사실을 빠르게 인정했다. 하지만 “가급적 이른 기간 내 재발사하겠다”며 추가 도발을 예고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01.33617957.1.jpg)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01.33618129.1.jpg)
누리호 성공 부러웠나 … 北, 발사 서두르다 실패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01.33617954.1.jpg)
우리 군은 해군 구조함을 북한 발사체 추락 해역에 보내 수색을 했고, 수심 약70m 지점에서 일부 잔해로 추정되는 물체를 찾아 인양하는데 성공했다. 북한은 “군사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신형 위성운반 로켓 ‘천리마-1형’에 탑재해 발사했으나 천리마-1형이 정상 비행하던 중 1계단 분리 후 2계단 발동기(엔진)의 시동 비정상으로 추진력을 상실하면서 서해에 추락했다”고 밝혔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01.33617953.1.jpg)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01.33773777.1.jpg)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01.33666472.1.jpg)
北, 미사일 요격 'L-SAM' 발사 성공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01.33617955.1.jpg)
국방과학연구소가 독자개발 중인 장거리 지대공유도무기(L-SAM)의 네 번째 발사 시험이 성공했다. 국방과학연구소는 지난달 30일 L-SAM 종합 유도 비행시험을 했고, L-SAM은 북한 탄도미사일을 모사한 표적탄을 정확하게 요격했다고 1일 발표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01.33617959.1.jpg)
한편, 대통령실은 최근 위성 발사에 실패한 북한이 재발사를 예고했지만 현재로는 진전이 원활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판단할 만한 징후는 보이지 않는다고 밝혔다.
김범준기자 bjk0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