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지역의 ‘준공 후 미분양’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입주 후에도 팔리지 않은 집인 준공 후 미분양은 시장 침체의 장기화를 알려주는 징조로 꼽힌다.
3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대구 지역의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1017가구로, 작년 말(281가구)보다 3.6배 증가했다. 이는 대구의 일반 미분양 물량이 같은 기간 1만3445가구에서 1만3028가구로 3.1% 감소한 것과 대비된다.
준공 후 미분양은 사용검사를 받은 이후까지 분양되지 않은 주택을 뜻한다. 입주가 시작됐는데도 주인을 찾지 못한 물량을 시공사나 시행사가 떠안고 있다는 얘기다. 일반 미분양에 비해 건설회사의 자금 부담이 크고, 단지 이미지에도 큰 타격을 줘 ‘악성 미분양’으로도 불린다.
대구는 전국 미분양 물량(7만1365가구)의 18%를 차지할 정도로 미분양 문제가 가장 심각한 지역이다. 작년 9월 후 8개월째 미분양 물량이 1만 가구를 웃돌고 있다. 올해 2월(1만3987가구) 이후 3월(1만3199가구)과 4월(1만3028가구)엔 물량이 다소 줄었다.
대구 부동산 시장의 침체 우려가 커진 건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인기 주거지인 수성구에 악성 미분양 물량(705가구, 3월 말 기준)이 몰려 있는 만큼 앞으로 준공이 다가오는 다른 지역도 악성 미분양이 계속 쌓일 것이란 관측이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올해 대구 지역의 입주 예정 아파트는 3만4419가구에 이르고, 내년에도 2만1175가구로 예상된다.
김성환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인구이동 등 통계를 고려했을 때 대구 지역의 주택은 누가 봐도 공급 과잉 상태”라며 “시장이 소화할 수 있는 물량을 넘어선 만큼 외부 투자자가 유입되지 않으면 회복하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건설사의 자구책도 필요하지만, 정부도 악성 미분양 문제가 심화하기 전에 해결책을 내놔야 한다”고 덧붙였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