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어밸리(beer belly).’ 맥주를 많이 마시는 성인 남성의 볼록한 배를 지칭하는 단어다. 국내에선 ‘술배’로도 불린다. 맥주 한 캔의 칼로리는 153㎉, 소주 한 병은 408㎉ 정도다. 공기밥 200g 한 공기가 300㎉인 것을 고려하면 상당히 높은 편이다. 함께 먹는 안주도 문제다. 알코올이 몸속에 들어가면 식욕 등을 조절하는 호르몬 균형을 무너뜨릴 수 있다.
늦은 저녁 술자리가 끝난 뒤 그동안 억눌렀던 식욕이 폭발해 고민인 사람이 많다. 술은 물론 안주까지 든든히 먹었는데도 귀가 후 칼로리 높은 음식을 다시 찾는 게 ‘술버릇’처럼 굳어지기도 한다. 노벨생리의학상 수여 기관으로 유명한 스웨덴 카롤린스카대 연구진은 알코올이 식욕을 자극하는 것은 식욕억제 호르몬인 ‘렙틴’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는 내용의 논문을 2001년 발표했다.
렙틴은 음식을 충분히 섭취하면 인체에 ‘더 이상 먹지 말라’는 신호를 보낸다. 렙틴이 제 역할을 못 하면 포만감을 못 느껴 음식을 계속 먹게 된다. 술이 식욕촉진제 기능을 하는 것이다. 문경민 365mc 분당점 대표원장은 “알코올은 뇌 시상하부에 직접 영향을 미쳐 달고 맵고 짜고 기름진 음식에 대한 욕구를 높인다”며 “철저하게 식단관리를 하다가도 술 한잔 들어가면 참지 못하고 안주를 폭풍흡입하는 것도 이런 이유”라고 했다.
술이 식욕을 높이는 ‘배고픔 호르몬’인 그렐린 분비를 자극한다는 독일 연구 결과도 있다. 그렐린은 야식 증후군과도 연관이 있다. 늦은 회식 탓에 밤늦게 음식 먹는 습관이 굳어지면 뇌는 늦은 밤에 식사하는 게 정상이라고 인식하게 된다. 회식이 없을 때도 같은 시간 그렐린을 분비해 늦은 밤 음식을 찾는 ‘악순환’을 낳는 것이다.
술은 인체가 지방을 태워 에너지로 쓰는 것도 방해한다. 사람의 몸은 에너지원으로 알코올을 우선 사용하도록 설계됐기 때문이다. 열량을 내기 위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보다 알코올을 먼저 쓴다. 술과 함께 먹는 안주는 고스란히 체지방 등으로 저장된다는 의미다.
남성은 술을 지나치게 많이 섭취하면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줄어 복부 비만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내장에 지방이 쌓이는 내장지방은 몸속 염증 수치를 높이고 만성질환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이다. 약이나 수술로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식단 조절과 유산소 운동 등으로 제거해야 한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거리두기’ 강화로 주춤했던 음주율이 반등하고 있다.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 34.6%였던 국내 월간 폭음률은 2021년 30.6%로 낮아졌다가 2022년 34.1%로 증가했다. 최근 1년간 월 1회 이상 한 술자리에서 소주 7잔 이상 마신 사람 비율이다.
술 때문에 망가진 식습관을 바꾸려면 음주량을 줄여야 한다. ‘섭취 칼로리’를 줄이도록 습관을 바꾸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의식적으로’ 안주를 절반 정도만 먹는 것도 방법이다. 평소 술을 마실 때 안주로 치킨을 세 조각 정도 먹었다면 한두 조각만 먹는 방식으로 줄여나가는 것이다.
매일 섭취하는 칼로리를 계산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이성의 도움’으로 식욕을 억제하는 원리다. 1주일에 체중 0.5㎏을 빼려면 이론적으로 매일 500㎉의 섭취량을 줄여야 한다. 설탕 또는 밀가루, 포화지방으로 구성된 안주 대신 채소와 과일, 통곡물, 단백질로 구성된 안주를 선택하는 것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