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침공 후 국제사회의 각종 제재 대상이 된 러시아 경제가 벼랑 끝 위기에 몰렸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8일(현지시간) 러시아 경제의 장기 침체 가능성이 커졌다고 보도했다.
현재 러시아 경제는 총체적인 난국에 빠진 상태다. 루블화의 가치는 지난해 11월 이후 20%나 하락했다. 지난해 가을 단행된 30만 명 규모의 징병 탓에 러시아 기업의 절반 정도가 노동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이 같은 경제의 불확실성 때문에 러시아 기업들은 신규 투자를 중단하고 있고, 소비도 급감하고 있다. 지난해 러시아의 소매 판매는 6.7% 감소했다. 2015년 이후 최악의 수치다. 지난달 러시아의 신차 판매는 전년 대비 62%나 급감했다.
원인으로 원유와 천연가스 등 에너지 가격 하락이 꼽힌다. 러시아 정부는 당초 유럽 각국이 러시아 에너지에 대한 의존을 포기할 수 없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러한 영향으로 전쟁 초반에는 고유가 덕을 봤다.
그러나 올해 1월과 2월 러시아 정부의 에너지 관련 수입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절반 가까이 줄었다. 유럽이 러시아 에너지에 대한 가격상한제도를 도입하는 등 국제사회가 러시아 제재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결과다. 수출길이 막히고, 에너지 가격까지 떨어지면서 러시아는 중국과 인도 등의 국가에 정상가보다 훨씬 할인된 가격으로 에너지를 팔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됐다. 러시아가 지난달 판매한 배럴당 원유가격은 49.59달러다. 이는 국제기준인 브렌트유(배럴당 80달러)의 60% 수준에 그친다.
재정 상황도 급속도로 악화하고 있다. 올해 첫 두 달간 러시아 정부가 수입보다 과다 지출한 액수는 340억 달러(약 44조2000억 원)에 달한다. 러시아 국부펀드도 우크라이나 전쟁 후 280억 달러(약 36조4000억 원)나 감소한 상태다.
일각에선 전년 대비 2.1% 역성장하는데 그쳤다는 점에서 다소 선방했다는 반론도 나오지만, 이마저도 러시아 정부의 각종 전쟁 비용 지출로 인해 생산이 늘어난 것처럼 보이는 착시현상이란 분석이다.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후 러시아를 떠난 러시아 중앙은행 간부인 알렉산드라 프로코펜코는 "(전쟁 비용 지출은) 생산적인 성장이 아니다. 경제를 발전시키는 것과는 상관이 없다"고 분석했다.
비엔나국제경제연구소 소속 경제학자 바실리 아스트로프는 러시아 경제 침체 전망과 관련해 "1~2년에 그칠 위기가 아니다. 러시아 경제는 (단기적 침체와는) 완전히 다른 경로로 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