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19.34

  • 15.00
  • 0.59%
코스닥

692.31

  • 4.52
  • 0.65%
1/2

달항아리, 어디 쓰는 물건인고?…궁중에서 기름 담던 통이었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리움미술관 백자전을 찾은 관람객 가운데 상당수는 20~30대다. ‘고미술은 어르신들의 취미’라는 통념과 사뭇 다른 결과다. 젊은 관람객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다섯 가지 질문에 대해 전시를 직접 기획한 이준광 리움미술관 책임연구원이 답했다.
도자기 전시, 어떻게 즐겨야 하나요.
“크게 세 가지 감상법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미술 작품으로서의 아름다움을 보는 겁니다. 고풍스러운 분위기를 좋아한다면 왕실에서 썼던 청화백자가, 현대미술의 파격을 좋아한다면 지방의 철화백자가 마음에 드실 겁니다. 또 하나는 도자기를 유물로서 보는 겁니다. 역사를 배우는 것이죠.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으로 철화백자가 등장했듯, 도자기는 당시 시대상을 잘 보여주는 귀중한 사료(史料)입니다. 마지막으로 옛날 사람들이 이 도자기를 어떻게 만들고 유통했으며 어떤 용도로 사용했을지 상상하며 즐기는 방법이 있습니다.”
전시된 작품들은 주로 어디에 쓰는 물건인가요.

“유물 상당수는 술병이나 술잔입니다. 조선시대 사람들도 술을 많이 즐겼던 것 같습니다(웃음). ‘백자 장군’ 등 다양한 형태의 술병이 있었습니다. 간혹 그릇들을 다기(茶器)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의외로 조선시대에는 차를 마시는 문화가 거의 없었습니다. 술병이 아닌 백자 중 가장 유명한 건 달항아리입니다. 식물성 기름을 담던 통 등 주방 저장용기로 추정됩니다. 국보인 ‘백자 달항아리’가 그 증거입니다. 담고 있던 기름이 배어 나와 표면에 얼룩을 만들었는데, 하필 달 표면처럼 번져서 더 아름다워졌습니다.”
중국·일본은 17세기부터 유럽으로 수만 점씩 도자기를 수출했지만, 우리 백자는 주로 내수용이었습니다. 조선 도자기의 수준은 어떤가요.

“당시 중국이나 일본의 도자기에 수준 높은 기술이 많이 쓰인 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미술 작품을 보는 관점으로 생각해 보죠. 비싼 재료나 최신 기술이 많이 들어갔다고 작품이 더 훌륭한 건 아니잖아요. 현대미술의 관점에서 보면 우리 도자기 특유의 단순하면서도 격조 높은 아름다움이 더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시각에서 봐야지요.”
일본 박물관이 소장한 백자들은 불법적으로 약탈한 문화재 아닌가요.
“이번에 소개된 조선백자는 소장 방식에 문제가 없는 것들입니다. 일제강점기까지만 해도 백자는 생활용품이었고, 그중 마음에 드는 걸 본국으로 가져간 일본인들이 많았어요. 일본 박물관에 있는 백자 대부분이 이렇게 소장된 작품들입니다. 이번 전시에도 일본 기관들이 많은 도움을 줬습니다. 오사카시립동양도자미술관은 20점 넘게 작품을 빌려줬는데 이례적으로 많은 수준입니다. 일본민예관도 ‘양국 간 교류는 우리의 사명이니 기꺼이 협력하겠다’며 흔쾌히 명품들을 내줬는데, 감동적이었습니다.”
옛날 도자기는 현대 기술로도 똑같이 만들기 어렵다는 말이 있습니다. 사실인가요.
“아닙니다. 현대 기술로 왜 못 만들겠어요(웃음). 하지만 도자기 위의 그림을 똑같이 그리는 건 쉽지 않을 겁니다. 자신이 그리고 싶은 그림을 그린다면 선을 자신 있게 뻗지만, 이미 존재하는 그림을 똑같이 따라 그리다 보면 선이 흔들릴 수밖에 없어요. 일반적인 그림보다 도자기에 그림을 그리는 게 난도가 더 높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습니다.”

성수영/이선아 기자, 사진=이솔 기자 syoung@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