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20.36

  • 13.98
  • 0.55%
코스닥

693.15

  • 3.68
  • 0.53%
1/3

증시부진 못 견딘 투자자금 이탈…작년 운용사 절반 '적자'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국내 자산운용사의 절반가량이 작년 적자를 기록했다. 금리 인상기 주식과 채권, 부동산 등 자산 대부분의 가치가 떨어져 투자자금이 빠져나간 영향이 컸다. 사모펀드 사태의 여진이 계속되면서 투자자 신뢰가 아직 회복되지 않은 점도 요인이다.

6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작년 12월 결산 자산운용사 344개사 중 48.5%에 해당하는 167곳이 작년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적자 자산운용사의 비중은 2020년에는 259개사 중 54곳(20.8%), 2021년에는 281개사 중 32곳(11.4%) 수준이었는데, 작년에는 그 비중이 무려 절반으로 확대된 것이다.

예컨대 공격적인 해외주식 투자 성향의 머스트자산운용은 작년 당기순손실이 285억원에 달했고, BNK자산운용도 약 136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냈다.

반면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은 약 1조656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냈다. 미래에셋자산운용(4546억원), 이지스자산운용(1295억원), 삼성자산운용(756억원), KB자산운용(650억원) 등도 비교적 많은 당기순이익을 내 선방했다.

작년 자산운용사 실적 부진은 증시 불황의 영향이 컸다. 자산운용사의 주 수익원중 하나인 '보수'에는 펀드나 일임 자금을 운용하는 대가로 받는 운용·일임보수, 특정 기준 이상의 수익을 냈을 때 받는 성과보수 등이 포함된다.

수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보수는 펀드 순자산과 연동되기 때문에 순자산이 늘어야 보수도 늘어나는 식이다.

하지만 작년 금리 인상기 투자자금이 증시를 이탈해 은행으로 쏠리면서 설정액이 줄었고, 이에 따라 펀드 내 자산가치도 하락해 평가이익이 급감하며 순자산도 위축됐다.

아울러 적자 자산운용사 대부분이 전문 사모 운용사인 점도 두드러진다. 라임·옵티머스·디스커버리 등 최근 수년간 일련의 사모펀드 사태로 인해 투자자들의 불신이 커지며 사모 운용사를 위축시킨 것으로 풀이된다.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