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56.33

  • 27.71
  • 1.05%
코스닥

856.82

  • 3.56
  • 0.42%
1/4

주유소가 아니다?…전기차 충전 시장이 이동통신과 닮은 이유 [긱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주유소가 아니다?…전기차 충전 시장이 이동통신과 닮은 이유 [긱스]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이 기사는 프리미엄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한경 긱스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미래의 주유소라고 불리는 전기차 충전소. 그런데 전기차 충전소는 주유소가 아닌, 이동통신시장과 닮았다고 합니다. 인프라이면서 서비스이기 때문입니다. 고객관리 서비스와 브랜드 경쟁력이 소비자의 선택을 좌우하게 되는 거죠. 대기업의 전기차 충전 스타트업 투자로 경쟁은 이미 시작됐습니다. 김태호 유비쿼스인베스트먼트 투자본부 팀장이 긱스(Geeks)를 통해 전기차 충전 시장 경쟁이 어떻게 전개될지, 누가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게 될지를 살펴봤습니다.


전기차 한번 타볼까? 전기차에 대한 장점은 익히 들어 알고 있을 겁니다. 하지만 전기차 구매를 고려할 때 먼저 따져 봐야 하는 요소가 있습니다. 바로 ‘충전’입니다. 전기차 차주들은 ‘집밥’(집 주변이나 아파트 충전기)이나 ‘회사 밥’(회사 주변 충전기)이 없으면 “아직은 이르다”는 말도 합니다. 배터리 성능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지만, 전기차 충전 인프라가 주변에 부족할 경우 사용에 큰 스트레스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전기차 충전기는 빠르게 보급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기준 전국의 전기차 충전기는 20만5205기로 2021년 대비 약 10만기 증가했습니다. 그런데도 아직은 갈 길이 멉니다. 전기차 누적 등록 대수는 지난해 40만2549대로 2021년 대비 약 16만대 증가했습니다. 전기차 보급 속도가 충전기 설치 속도보다 빠른 편입니다. 그래서 올해부터는 전기차 충전기 보급 속도가 더욱 빨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자연스럽게 관련 업체들은 가입자 유치에 속도를 내고 있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내세우며 마케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런 모습은 ‘이동통신’ 시장의 초창기 모습과 매우 닮았습니다.
01X 시대를 기억하시나요
과거 이동통신은 어떤 성장 과정을 거쳤을까요? 이동통신은 인프라와 서비스가 결합한 형태의 사업입니다. 지금은 이동통신 3사 체제가 굳어졌지만, 1990년대만 해도 경쟁을 펼치던 플레이어들이 매우 다양했습니다. 과거에는 011, 012, 015, 016, 017, 018, 019 등 이동통신 시작 번호가 참 많았습니다. 012, 015는 삐삐였고, 나머지는 휴대폰 시작 번호였죠. 각각의 번호는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고유번호였습니다.

각 사업자는 가입자 확보를 위해 무한경쟁을 펼쳤습니다. 스피드를 차별화 포인트로 내세우거나, 사업자만의 새로운 요금제를 앞세워 마케팅을 했습니다. 고유번호가 있다 보니 회사의 이름보다 ‘스피드 011’, ‘디지털 017’, ‘원샷 018’과 같이 번호를 내세운 광고가 대세였죠.

이동통신 시장은 1990년대 초중반 치열한 가입자 유치 경쟁을 펼치다가 1990년대 말부터 급격히 재편되기 시작합니다. 휴대전화가 자리 잡으면서 지역사업자 위주의 삐삐 사업 경쟁은 막을 내렸습니다. 대기업 중심의 휴대전화 사업은 SK텔레콤의 신세기통신 인수, KTF(현 KT)의 한솔엠닷컴 인수로 현재의 3사 체제가 굳어지기 시작했습니다. 업계 재편이 끝난 시점인 2002년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 수는 3000만명을 넘어섰습니다. 사업 시작 불과 10년 만에 전 국민의 절반 이상이 휴대전화를 가지게 된 것이죠.

전기차 충전은 ‘주유소’와 다르다
전기차 충전이 ‘주유소’가 아닌 이동통신과 유사한 이유 역시 인프라이면서 ‘서비스’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입니다. 전기차 충전 사업의 밸류체인은 크게 ▲전기 공급 및 송전 ▲하드웨어(충전 장비 설치) ▲소프트웨어(관리 솔루션) ▲고객 서비스 등 4가지로 구성됩니다. 전기 공급 및 송전과 하드웨어가 인프라에 해당하는 부분입니다. 보다 효율적인 송전과 배전, 성능이 뛰어난 충전소를 설치하고 유지하는 것이 관건입니다.

이후에는 소프트웨어와 고객서비스가 중요해집니다. 전기차 사용자들은 집밥이나 회사 밥이 있는 공간에 설치된 충전기를 활용합니다. 이 충전기를 설치하고 운영하는 서비스 업체들은 각각의 고유 카드나 앱이 있습니다.

여기서 주유소와는 차별점이 생깁니다. 바로 가입자가 존재한다는 것이죠. 사용자들은 자신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곳에 설치된 충전기 브랜드를 보고 이 서비스에 가입한 뒤 충전 및 결제하게 됩니다. 물론 가입되지 않은 충전기에서도 충전이 가능합니다. 다만 가격이 비싸집니다. 업계용어로 이를 충전기 ‘로밍’이라고 합니다. 이마저도 이동통신과 비슷하네요.

충전기 업체 입장에서는 충전기가 설치되는 장소인 아파트나 건물이 주요 영업 대상이 됩니다. 해당 장소에 인프라를 설치하면, 소비자들이 이용을 위해 자연스럽게 가입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죠. 하지만 최종 소비자들은 아파트나 건물의 충전기 브랜드 결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충전기 브랜드를 아파트나 건물에 건의하게 되는 구조죠.

네트워크 관리로 사용 및 전력 데이터를 모으고 고객의 접근성이 좋은 지역에 충전기를 보다 많이 더 싸게 공급하는 것이 차별화 포인트가 됩니다. 인프라 사업이지만,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서비스업’인 셈입니다.
주거지역 ‘완속’, 고속도로 ‘급속’
기기와 기술의 형태가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도 이동통신 초기 시장과 유사합니다. 과거 이동통신에서는 주파수 속에서 1 대 1로 통화가 연결되는 기술 방식이 중요했습니다. 그렇게 등장한 것이 시간분할방식(TDMA)이나 코드분할방식(CDMA) 등의 기술이었죠. 결과적으로 CDMA가 2G의 기술의 표준이 됐습니다.

현재 전기차 충전기는 크게 완속과 급속으로 나눠집니다. 이동통신과 달리 이 두 시장은 각각의 수요처에 맞게 발전 중이지만 충전 형태이나 규격은 매우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현재 대다수의 충전기는 완속입니다. 더 느리지만, 전기차 충전의 사용자 특성을 보면 완속이 더 많이 보급될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완속의 경우 대부분 주거지에 적합합니다. 현재 완속은 14시간까지 한 자리에서 충전이 허용됩니다. 퇴근 후에 주차를 해두고 다음 날 출근할 때가 되면 완전 충전이 가능합니다. 아이오닉6의 경우 7kWh 충전기를 사용하면 방전에서 완충까지 약 11시간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어차피 주거지에서는 주차하는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때를 활용해 값싼 완속을 사용하게 되는 것입니다.

반면 급속의 경우는 1시간까지 충전 시간이 허용됩니다. 빨라서 좋지만 1시간 만에 차를 다른 곳에 주차해야 하기 때문에 장시간 머무르는 경우는 매우 불편합니다. 그래서 급속은 정말 ‘급하게’ 충전이 필요한 고속도로 휴게소나 주유소 등에 설치되는 추세입니다. 작년 말 기준으로 전국에 완속충전기는 18만4468대, 급속충전기는 2만737대가 설치돼 있습니다.

정부 주도에서 가입자 경쟁까지
사업의 특성도 유사하지만 전체적인 산업의 성장 과정도 전기차 충전과 이동통신은 비슷하게 흘러가고 있습니다. 두 산업 모두 '정부 주도→플레이어 등장→가입자 경쟁→사업 재편'이라는 과정을 거치고 있습니다.

이동통신 시장의 치열한 경쟁은 1995년 정부가 통신사업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무선호출과 PCS, 주파수공용통신 등 통신서비스 사업에 대한 민간기업의 신규 참여를 허용한 것이 시작이었습니다. 정부가 적극적으로 주도하자 많은 대기업이 시장 참여를 선언하게 됐고, 다양한 플레이어가 등장했죠.

전기차 충전 역시 국가의 전기차 보급 확대 정책과 밀접합니다. 처음에는 보조금이 시장 성장을 주도했습니다.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하면 국가 보조금으로 일정 부분 설치비와 수익이 보장되다 보니 다양한 업체들이 생겨나기 시작한 것이죠. 전기차 충전소 보조금은 2011년 70억원에서 2019년 1650억원까지 증가했습니다. 정부 주도로 시장이 태동하고 다양한 플레이어가 등장하던 시기죠.

하지만 2020년부터는 전기차 충전소 보조금은 점차 줄어들고 있습니다. 전기차 사용자들에게 지원되던 충전 보조금 혜택도 이제는 거의 사라져 버렸습니다. 처음 보급한 시기에는 우선 인프라 확장의 목적이었지만, 전기차 보급이 늘어나고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이제는 전기차 충전기 사업 자체만으로도 수익성이 확보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입니다. 전기 가격 인상도 현재 운영업체들에는 다소 숨통이 트이는 부분입니다. 전기차 충전기 수익은 사용량과 전기 가격에 비례해서 올라가기 때문입니다.

전기차 충전 브랜드들은 각자 많은 가입자 확보를 위해 프로모션을 확보하고, 사용량이 증가할 수 있는 좋은 지역을 선점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습니다. 접근성이 좋은 지역을 많이 확보한 사업자가 추후 경쟁에서 더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수 있습니다.
충전업계, 전쟁의 서막
때마침 업계에 큰 호재도 등장했습니다. 지난해 친환경자동차법 시행령 개정안에 따라 새 아파트의 경우 총주차면의 5%, 구축 아파트의 경우 2% 이상 규모로 전기차 충전기를 3년 이내 의무 설치해야 합니다. 업계에서는 이런 거주 공간 의무 설치 비율은 향후 10%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보조금은 줄었지만, 의무설치 비율이 생기면서 이제는 대부분의 주거 공간에 전기차 충전소가 필요하게 됐습니다.

결국 올해는 이런 정부 정책의 영향으로 설치와 서비스 차별화가 동시에 진행되는 한 해가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특히 완속충전기 위주의 업체들 경쟁이 치열할 전망입니다.

현재 완속충전기 업체는 약 30개 사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보급량 기준으로는 파워큐브, 에버온, 차지비가 '빅3'로 분류됩니다. 이어 GS커넥트, 스타코프, 플러그링크, 휴맥스이브이, 이지차저 등의 업체들이 활발히 충전기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상위 업체들은 투자 유치를 통해 두둑한 실탄을 마련한 상황입니다. 에버온, 플러그링크, 이지차저 등은 100억원 이상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대기업들의 투자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SK네트웍스는 지난해 에버온에 100억원을 투자했고, 급속충전기 1위인 에스트래픽 전기차충전사업부도 인수했습니다. 완속과 급속 시장 모두를 선점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GS그룹도 빠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GS에너지는 차지비 지분 50% 이상을 약 500억원에 인수했습니다. 계열사인 GS커넥트와 차지비가 합쳐질 경우 보급 기준으로 업계 1위가 가능한 상황입니다. 플러그링크 역시 지난해 투자 유치에서 LS네트웍스로부터 투자금을 받았습니다.



이 외에도 현대차, 롯데정보통신, LG전자 등도 전기차 충전 관련 사업에 투자하거나 인수합병(M&A)을 진행한 바 있습니다. 과거 이동통신사업에 여러 대기업이 지분 참여에 나섰던 것과 유사한 모습입니다.

각 업체는 마련된 실탄을 완속 충전기 확대에 사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3년 이내 추가로 충전기를 설치해야 하는 아파트가 주된 영업 대상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기투자한 대기업은 물론, 카카오모빌리티, 네이버, 티맵모빌리티와 같은 빅테크 기업들과 협업한 차별화된 서비스 경쟁도 더욱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결과적으로 전기차 충전 서비스도 많은 업체가 재편을 거쳐 새로운 업계 모습을 이뤄나가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상해 봅니다. 적어도 몇 년간은 부족한 충전 인프라가 보급되면서 서비스가 크게 발전할 것으로 보입니다. 충전 인프라가 잘 갖춰지면 전기차 보급도 함께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동통신 시장이 어느 정도 가입자를 확보한 뒤에 ‘기기 변경’이 흥행했던 것처럼, 아파트에 설치된 충전기도 더 좋은 서비스로 갈아타는 현상도 나오겠죠. 전기차 무선 충전이나, 주행 중 충전과 같은 기술도 지속해서 개발 중이니 향후에는 기술에 따른 업계 재편도 충분히 예상되는 시나리오입니다.
<hr style="display:block !important; border:1px solid #c3c3c3" />
김태호 | 유비쿼스인베스트먼트 투자본부 팀장
신기술사업금융전문회사인 유비쿼스인베스트먼트에서 스타트업 투자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일어나는 혁신을 관찰하고, 이를 주도하는 스타트업을 발굴해 성장 마중물을 공급합니다. 그래서 매일 스타트업을 만나 혁신적인 트렌드에 대해 이야기 나누는 일이 즐겁습니다. 한국경제신문에서는 벤처캐피털의 투자와 스타트업의 성장 스토리에 대한 기사를 썼습니다. 여러 경험에서 쌓은 넓고 얕은 지식이지만 스타트업 성장에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기 위해 매일 노력하고 있습니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