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 새 서울에서 완료된 재개발 사업지 40곳의 평균 사업 기간이 168개월이나 됐습니다. 재개발 사업을 한 번 하려면 주민들이 15년이나 기다려야 하는 셈이죠. LH가 중간 조율을 맡으면 기간은 절반으로, 사업비도 대폭 줄일 수 있습니다.”
오주헌 신임 LH(한국토지주택공사) 서울지역본부장(사진)은 “우리의 역할은 정비사업에서 발생하는 각종 갈등을 중재하는 것”이라며 민간개발보다 빠른 사업 속도를 강점으로 내세웠다.
현재 서울본부가 맡은 정비사업지는 152곳으로, 상당수가 사업성이 낮아 민간에서 속도를 내지 못했던 곳이다. LH는 도심복합사업을 통해 이들 지역의 재개발을 진행 중이다. 오 본부장은 “서울 한복판에서의 재개발 정비사업은 (도심복합사업이) 처음”이라며 “작년 선도사업지와 후보지에 더해 올해 1만 가구 규모의 신규 지구 지정을 통해 주택 공급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선도지구로는 은평구 연신내, 증산을 비롯해 영등포구 신길동, 도봉구 쌍문역과 방학역 일대 등이 지정됐다.
본부는 정비사업 속도를 높여 주민 부담은 줄이고 주택 공급 시기는 앞당긴다는 계획이다. 그는 “주민들에게는 용적률을 조금 더 주는 것보다 사업을 앞당겨 부담금을 줄여주는 것이 더 중요하다”며 “당장 선도지구는 오는 6월 사업 승인 신청을 목표로 속도를 내고 있다”고 했다.
LH가 서울에서 진행 중인 공공재개발 역시 속도를 내 동대문구 신설1구역과 송파구 거여새마을구역은 시작 1년 반 만에 지구 지정이 끝났다. 8곳은 막바지 절차를 밟는 단계로 올해 안에 시공사 선정 절차까지 마무리 지을 계획이다. 공공재건축 사업지 3곳 역시 주민들의 협조 덕에 사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서울 내 주거복지 사각지대를 찾기 위한 사업도 추진된다. 본부는 서울시와 함께 서울 특화 주거복지 모델을 만들어 매입임대주택을 제공할 예정이다. 오 본부장은 “지금도 LH의 주거복지를 몰라 혜택을 받지 못하는 시민이 많다”며 “자치구와 함께 사각지대를 발굴하는 사업을 신설하고 매입임대 자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했다.
반환받은 용산 미군기지 부지의 공원화 역시 올해 주요 사업 중 하나다. 작년 한 차례 국민들에게 공개된 공원은 현재 기반시설 공사와 오염 방지 작업이 한창이다. 그는 “지난해 임시 개방 때보다 넓은 27만㎡가 올해 상반기 공개될 예정”이라며 “체험형 시설을 확충하고 오염 방지 작업을 진행하며 안전성을 더 높였다”고 말했다.
유오상 기자 osyoo@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