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 순이익 1위 차지
하나금융은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3조6257억원을 기록했다고 9일 공시했다. 전년(3조5261억원)보다 2.8%(996억원) 증가한 것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이자이익이 전년보다 20%(1조4826억원) 늘어난 8조9198억원에 달하면서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금리 인상 효과로 하나금융과 하나은행의 작년 순이자마진(NIM)은 각각 1.96%와 1.74%로 전년 대비 0.25%포인트와 0.27%포인트 높아졌다. 수수료 이익 등 비이자 이익은 1조7445억원으로 전년보다 6.4%(1189억원) 줄었다.
주력사인 하나은행은 ‘리딩뱅크(1등 순이익 은행)’에 올랐다. 하나은행의 작년 순이익은 전년보다 23.3%(5988억원) 증가한 3조1692억원에 달했다. 신한은행(3조450억원) 국민은행(2조9960억원) 우리은행(2조9198억원)보다 많다. 하나금융 관계자는 “기업금융과 외국환, 자산관리 등 은행의 핵심 사업역량이 시너지를 내면서 실적을 끌어올렸다”고 설명했다.
하나금융은 이날 이사회를 열고 배당 확대와 자사주 소각 등 주주환원책을 발표했다. 결산 배당금은 주당 3350원(중간배당 800원 포함)으로 결정했다. 배당성향(순이익 중 배당으로 지급하는 금액)은 27%다. 연내 15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소각하기로 했다.
○금리 오르자 이자수익 ‘껑충’
4대 은행의 작년 합계 이자이익은 32조7949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전까지 사상 최대였던 2021년(27조905억원)보다 21.1%(5조7044억원) 증가했다. 국민은행의 이자이익이 1년 전보다 20.2% 늘어난 9조291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신한은행 8조2052억원(24.1%), 하나은행 7조6087억원(23.7%), 우리은행 7조4177억원(25.3%) 순이었다.이자이익이 급증한 것은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예대금리차(대출금리와 예금금리 차이)가 벌어졌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7회에 걸쳐 기준금리를 연 1.00%에서 연 3.25%로 끌어올렸다. 이에 따른 시장금리 상승 여파로 한은이 집계하는 잔액 기준 은행 예대금리차는 2021년 12월 2.21%포인트에서 작년 12월엔 2.55%포인트로 커졌다. 하지만 은행이 예금금리보다 대출금리를 빨리 올리면서 예대금리차가 확대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4대 은행의 ‘이자 잔치’로 모기업인 KB 신한 우리 하나 등 4대 금융지주도 사상 최대 실적을 냈다. 4대 금융지주의 작년 합계 순이익은 15조8506억원으로 이전 최대였던 2021년(14조5429억원)보다 8.9%(1조3077억원) 증가했다.
비은행 사업 확대로 수익을 다각화하겠다던 4대 금융지주의 은행 의존도는 오히려 심해졌다. KB금융 전체 순이익에서 국민은행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1년 58.8%에서 작년 67.9%로 높아졌다. 신한금융도 같은 기간 은행 순이익 비중이 62.1%에서 65.6%로 올라갔다. 하나금융(87.4%)과 우리금융(83.9%)도 은행 의존도가 커졌다.
김보형/이소현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