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Fed)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렸다. 인플레이션이 둔화하자 지난해 12월에 이어 또다시 금리 인상폭을 낮췄다. Fed는 추가로 금리를 올리겠다고 못박았지만 시장은 속도조절론에 환호했다.
파월 "디스인플레 시작" 언급에 시장은 통화완화 무게
Fed, 기준금리 0.25%P 인상 '속도조절'
Fed는 1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어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이로써 미국 기준금리는 연 4.25~4.50%에서 연 4.50~4.75%가 됐다. 연 3.5%인 한국 기준금리보다 1.0~1.25%포인트 높아졌다.Fed, 기준금리 0.25%P 인상 '속도조절'
Fed는 제로금리에서 벗어난 지난해 3월부터 이날까지 8회 연속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지난해 6월부터 11월까지 4회 연속 0.75%포인트 금리를 올렸다. 그러다 지난해 12월 0.50%포인트로 인상폭을 줄인 뒤 이번에 ‘베이비스텝’으로 재차 인상 속도를 조절했다.
Fed는 성명서에서 “인플레이션이 다소 완화됐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며 “계속 기준금리를 올리는 게 적절하다”고 밝혔다. 제롬 파월 Fed 의장도 이날 기자회견에서 “현재로서는 금리 인상 중단을 생각하지 않고 있으며 연내 금리를 인하한다는 것은 시기상조”라며 기존과 비슷한 매파(통화긴축 선호)적 발언을 했다. 그러면서도 “상품을 중심으로 디스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둔화)이 시작됐는데 다행히 노동시장이 악화하지 않고 글로벌 경기도 나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때문에 실업률이 크게 오르지 않고 물가를 되돌리는 연착륙을 기본 사항으로 본다”고 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 시각을 드러냈다.
달라진 파월 의장의 발언에 글로벌 증시는 강세를 보였다. 이날 S&P500지수는 1.05% 올랐고 나스닥지수는 2.0% 급등했다. 다우지수도 막판에 상승 전환하면서 0.02% 올랐다. 한국 코스피지수는 0.78% 상승한 2468.88, 코스닥지수는 1.82% 오른 764.62로 마감했다. 원·달러 환율은 11원 내린 1220원30전으로 장을 마쳤다.
종가 기준으로 지난해 4월 7일(1219원50전) 후 가장 낮다.
전기·가스·수도 28% 급등 … 당분간 5%대 고물가 불가피
1월 소비자물가 5.2% 상승 '고공행진'
1월 소비자물가 5.2% 상승 '고공행진'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5.2% 상승했다. 3개월 만에 상승폭이 커졌다. 전기 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이 물가를 끌어올렸다. ‘공공요금발(發)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면서 당분간 5%대 고물가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일 통계청에 따르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달 5.2%(전년 동월 대비)를 기록했다. 지난해 10월 5.7% 이후 11월 5.0%, 12월 5.0%로 둔화했지만 올해 1월 다시 상승폭이 커졌다. 물가 상승률은 9개월 연속 5%를 웃돌았다. 이는 외환위기 때인 1997년 12월~1998년 11월 이후 25년 만의 최장기 고물가다.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개월 연속 둔화한 상황에서 한국 물가가 다시 불안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공공요금 인상 때문이다. 올 1월 전기·가스·수도 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8.3% 올랐다.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10년 이후 최고치다.
지난달 상승률(5.2%) 중 전기·가스·수도의 기여도는 0.94%포인트다. 지난해 물가 고공행진을 이끈 석유류(0.23%포인트)와 가공식품(0.89%포인트)보다 더 크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지난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한 달 전에 비해 0.2%포인트 상승한 것은 거의 전기료 때문이라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당분간 소비자물가는 고공행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전기료와 가스비 등의 추가 인상이 불가피하고, 지하철 요금을 비롯한 다른 공공요금도 줄인상이 예고된 상태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석유류 제외 지수)도 전년 동월 대비 5.0% 상승했다. 2009년 2월(5.2%) 후 14년 만의 최고 수준이다.
한국은행도 이날 2월 소비자물가가 5% 안팎의 상승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특히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에 따른 원자재 가격 불확실성을 물가에 미칠 주요 변수로 꼽았다.
기획재정부는 적어도 올 1분기까지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대를 유지할 것으로 봤다.
워싱턴=정인설 특파원/조미현/도병욱 기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