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민주당 정책위원회 의장은 26일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결혼을 앞둔 부부나 신혼부부 가구에 더 파격적으로 임대주택을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이미 발의된 전세피해방지와 전세사기방지 법안과 함께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임대주택 확대는 앞서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신년 기자회견에서 밝힌 30조원 규모 '9대민생 프로젝트' 중 하나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1/01.32506940.1.jpg)
최근 정부의 임대주택 매입정책도 강하게 비판했다. 김 의장은 "미분양 주택을 매입하는 과정에서 건설사의 모럴헤저드(도덕적 해이)가 생길 수 있다"며 "분양가에 절반. 원가로 보더라도 원가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매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한국주택토지공사(LH)가 아파트형 주택을 고가로 매입한 것을 두고 국토부장관이 SNS에 '나 같으면 안산다'고 했다"며 "산하 공기업이 한 걸 남일 말하듯 하는 장관은 어느 부처 장관이냐. 한심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이 대표도 국회에서 열린 '부실·미분양 주택 매입임대 전환 긴급토론회'에 참석해 "임대주택 시가매입은 부실 건설업체에 특혜를 주는 것"이라며 "과거에 (시행)했던 것처럼 상당액의 할인 매입해야 공정하다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또 "공공임대주택을 대량 확보해야 하는 것이 국가의 주요 과제가 됐는데도 (정부여당이) 매입임대예산을 대폭 삭감했다"며 자신이 제시한 '30조 긴급민생프로젝트'의 당위성을 주장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1/01.32506944.1.jpg)
한편 민주당은 난방비 폭등 사태 해결을 위해 '횡재세' 법안을 추진할 가능성도 내비쳤다. 김 정책위의장은 "석유사업법 제18조에 근거해 부담금을 걷어 에너지 문제로 고통받는 사람들에게 재분배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검토해 달라고 요청해왔다"며 "정부의 태도가 미진하면 별도의 횡재세 입법을 추진할 수밖에 없다는 게 당의 생각"이라고 전했다.
원종환 기자 won04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