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국토교통부 항공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국적 항공사 8곳의 국제선 항공 좌석 공급 규모는 161만9884석이었다. 코로나19 사태 직전인 2019년 12월(306만3807석) 대비 52.9% 수준이다. 1년 전인 2021년 12월(28만5368석·9.3%)과 비교하면 여섯 배 가까이 늘어났다. 항공 좌석 공급이 증가했다는 것은 항공편이 늘어났다는 뜻이다. 통상 항공 좌석 공급 규모는 국제선 여객 수요를 가늠하는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장거리 노선을 운항하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각각 48.7%와 42.9%를 차지했다.
인천공항을 오가는 외항사 67곳의 지난달 국제선 공급 규모는 82만3760석이었다.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 12월(161만1639석) 대비 51.1% 수준이다. 이는 최근에서야 코로나19 입국 규제가 해제된 중국과 일본 항공사들까지 포함한 수치다. 중국과 일본 항공사를 제외하면 외항사의 국제선 공급 규모는 73%까지 치솟는다. 베트남 항공사인 비엣젯항공과 베트남항공, 미국 델타항공은 코로나19 직전 수준을 넘어섰다. 중동 대표 항공사인 에미레이트항공도 95.3%에 달했다. 유럽 최대 항공사인 독일의 루프트한자도 88.2%로, 코로나19 이전 수준 회복을 앞두고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1/01.32490990.1.jpg)
반면 국적 항공사들의 항공편 회복은 여전히 더디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올 1분기까지 코로나19 직전 대비 평균 50% 돌파도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중국의 코로나19 확산 여파 등으로 당초 계획보다 항공편 회복이 더딜 수 있다”고 밝혔다.
대한항공은 하계 운항 계획이 시작되는 3월 마지막 주부터 미주, 유럽, 동남아 등 주요 노선별 운항 횟수를 늘려 주당 여객 운항 횟수를 60%대까지 회복할 방침이다. 수요 회복 노선을 중심으로 좌석이 많은 대형 기종을 투입하는 등 공급도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