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지주 회장 선임을 둘러싸고 금융권에서 온갖 말이 오가는 가운데 볼썽사나운 비난전까지 벌어지고 있다. 전관(前官) 낙하산 논란 속에 광고전을 펴는 노조의 과도한 주장이 나오는가 하면 해묵은 관치 시비도 겹치고 있다. 임원추천위원회 등 정해진 인선 과정이 외풍에 흔들리며 ‘자율 금융’에서 멀어질까 걱정이다.
논란의 한가운데 금융위원장·농협금융지주 회장을 지낸 임종룡 율촌 고문이 있다. 어제 확정된 최종 후보에 포함된 그를 향해 노조는 ‘모피아 전관’ ‘부적격 업무 이력’ ‘관치’ 같은 험한 말로 반대하고 있다. 그럼에도 이번 반대성명서에는 눈여겨볼 대목이 적지 않다. “이석준 농협금융 회장에 이어 또 모피아냐”는 문제 제기도 타당한 측면이 있고, 우리금융그룹의 최고경영자에 엄연히 경쟁 관계인 농협금융지주 회장 경력자가 응모한다는 것도 상식적이라고 보기 어렵다. 경영·기술 정보를 다 가진 SK하이닉스 대표가 삼성전자 사장하겠다는 격 아닌가. 경제부총리 인선 때면 하마평이 나올 정도로 후배 관료의 존경을 받는 사람이 왜 이렇게 자리 욕심을 내는지 모르겠다는 비판도 나온다. 물론 노조 주장에도 문제는 있다. 무수한 관치 시비 때 노조는 무엇을 했고, 최근 영업시간 정상화 요구와 과도한 복지·임금 논란에서는 어떤 입바른 소리를 했던가. 우리금융 내부 모두의 관점과 이익을 지키기에 노조가 ‘총대’를 메고 있다는 지적도 무리가 아니다.
이런 어수선하고 미묘한 시점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의 언사도 적절하다고 보기 어렵다. 후보 기준과 인선 절차 등에 대한 그의 문제 제기를 두고도 뒷말이 적지 않다. 최근 신한금융지주 회장 교체 때도 금융감독당국의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했다는 설이 파다했다. 민영화된 은행, 원래부터 정부가 주식 한 주 갖지 않은 금융그룹의 대표까지 무난·원만하게 선임을 못 하니 금융 선진화, 금융 허브 하는 구호가 허황하게 들릴 수밖에 없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