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바람을 계기로 국내 기업들도 초거대 인공지능(AI)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대규모 한국어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통신사와 플랫폼 회사가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통신사 중에서는 SK텔레콤과 KT가 각각 챗봇으로 분류되는 대화형 AI를 발전시키고 있다. SK텔레콤은 최근 AI 서비스 ‘에이닷(A.)’에 장기 기억 기술을 반영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오래전에 입력된 정보를 반영하면 “너 택시 타는 것 좋아했잖아”, “생선 좋아한다더니 오늘은 별로였어?” 등과 같은 발언이 나올 수 있다.
KT도 올 상반기 챗GPT와 엇비슷한 수준의 매개변수를 활용한 AI ‘믿음’을 상용화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신뢰할 수 있는’ 챗봇을 개발해 금융사 등에 공급하는 게 목표다. 회사 관계자는 “챗봇 운영자가 제공하는 신뢰할 수 있는 정보와 그 밖의 방법으로 학습된 데이터 간 차이를 이해하는 AI를 만들고 있다”며 “믿기 어려운 인터넷 정보, 경쟁사의 정보가 걸러지기를 원하는 기업 고객들은 ‘믿음’의 챗봇을 선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LG는 산하 연구기관인 AI연구원을 통해 초거대 AI ‘엑사원’을 개발 중이다. 엑사원은 대화, 이미지 생성 등에 두루 능하다. 신약 개발 후보 물질을 추리는 등 사람이 일일이 하기 어려운 영역에서 두각을 나타낼 것으로 LG그룹은 기대하고 있다. 네이버는 한국어에 특화된 ‘하이퍼클로바’가 무기다. 음성인식 앱 ‘클로바 노트’ 등을 통해 AI 시장 기반을 확대하고 있다. 카카오도 대화형 AI와 이미지 생성 AI 등을 실험 중이다. 최근에는 의료용 영상 이미지를 AI로 분석하기 위해 주요 병원과 잇달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