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58.42

  • 3.53
  • 0.13%
코스닥

862.19

  • 9.14
  • 1.05%
1/1

경영권 놓고 얼굴 붉히더니…효성·코오롱, 카프로서 손 떼나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경영권 놓고 얼굴 붉히더니…효성·코오롱, 카프로서 손 떼나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효성과 코오롱이 국내 유일의 카프로락탐(나일론 원료) 생산업체인 카프로 경영에서 손을 떼기로 했다. 저렴한 중국산 카프로락탐이 쏟아지면서 적자행진이 이어진 데다 재무 구조도 나빠졌기 때문이다.

1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최근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인 카프로 주식 보유 목적을 ‘경영참가’에서 ‘단순투자’로 변경했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카프로 지분 9.56%를 보유한 2대 주주다. 앞서 카프로 최대주주로 지분 12.75%를 보유한 효성티앤씨도 지난해 11월 보유 목적을 경영참가에서 단순투자로 바꿨다.

이처럼 보유 목적을 경영참가에서 단순투자로 변경하면 이들 기업은 카프로 경영에 참여할 길이 막힌다. 두 회사가 앞으로 카프로 주식을 정리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1965년 국영기업으로 출범한 카프로는 1974년 상장하는 과정에서 효성그룹과 코오롱그룹이 각각 지분 20.0%, 19.2%를 확보했다. 나일론을 생산하는 두 그룹은 안정적 원료를 조달하기 위해 지분을 투자했다. 과거 실적이 좋았을 때는 카프로 경영권에도 관심이 적잖았다. 코오롱그룹은 1996년 “효성그룹이 직원 차명계좌 등을 동원해 카프로 지분율을 57.6%까지 확대했다”며 검찰에 고발하기도 했다. 이후 양사는 카프로에 전문경영인 체제를 도입하기로 합의했고, 갈등도 어느 정도 봉합됐다.

두 기업이 카프로 지분을 정리한 것은 최근 카프로의 기업가치 하락과 맞물린다. 중국산 제품에 밀린 카프로는 지난해 3분기 누적으로 898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부채 비율은 작년 9월 말 674.5%로, 이미 부분 자본잠식 상태에 빠졌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