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04.67

  • 1.61
  • 0.06%
코스닥

694.39

  • 2.39
  • 0.35%
1/3

디지털 시대 필수인데…갈 곳 없는 데이터센터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디지털 서비스의 핵심 인프라로 꼽히는 인터넷 데이터센터(IDC)가 혐오시설 논란에 휩싸였다.

대한전기협회와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6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전력정책포럼을 열고 IDC 확산에 따른 갈등 해소 대책을 논의했다. IDC 구축 예정지 주민들의 민원이 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 포럼을 열었다는 게 주최 측 설명이다.

IDC는 인공지능(AI)과 게임,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 각 분야 기업이 빌려 쓰는 초대형 정보처리 장치다. 서버용 컴퓨터와 냉방·통신 시설 등이 들어가는데 ‘전기 먹는 하마’로 불릴 만큼 전력 소모량이 많다. IDC 하나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량은 연간 기준으로 평균 25기가와트시(GWh)에 달한다. 4인 가구 기준 6000가구가 한 해 쓰는 전력량과 맞먹는다.

‘혐오시설’ 논란의 핵심은 IDC에 전력을 공급하는 송전로다. 일부 지역 주민들이 송전로에서 나오는 전자파가 암을 유발한다고 주장하면서 ‘반(反)IDC’ 여론이 거세졌다. 2019년엔 네이버가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경기 용인에 추진하던 데이터센터 건립 사업을 중도 포기한 일도 있다.

전문가들은 IDC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건강을 위협할 정도는 아니라고 설명한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기관인 국제암연구소는 전자파를 발암 발생 등급 분류 중 ‘2B 그룹’으로 분류했다. 전자파에 낮은 수준으로 노출돼도 이것이 암으로 이어진다는 생체물리학적 작용은 밝혀진 바가 없다는 뜻이다. 절임 채소, 고사리 등이 같은 등급이다. 업계 관계자는 “송전로는 지하에 부설하고, 데이터센터에 전자파 차단 설비도 들어선다”며 “주민들이 체감하게 될 영향은 극히 미미하다”고 설명했다.

IDC 혐오시설 논란은 한동안 계속될 전망이다. 데이터 기반 서비스가 많아지면서 IDC 수요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인구 밀집 지역을 피할 수도 없다. 정보기술(IT) 업계가 서비스 품질 등을 이유로 수도권을 고집하고 있어서다. 업계에선 2029년까지 들어설 IDC의 80% 이상이 수도권에 몰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IT업계 관계자는 “사물인터넷(IoT)·자율주행 등 빠른 응답성이 중요한 차세대 서비스를 하기 위해선 수요처인 도시와 가까운 곳에 IDC를 짓는 게 수월하다”며 “일대 주민들을 설득할 수 있는 여러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