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업계에서 28년 동안 IB(투자은행) 업무를 담당해 온 서원형 미래에셋증권 이사가 《리츠의 비밀-든든한 또 하나의 연금》을 출간했다. 그는 이 책에서 금리가 상승하는 시기에도 리츠 투자로 높은 수익을 낼수 있다며 리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기 위해 책을 출간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국내 IB업계에서 유일하게 리츠로 학위를 받은 부동산학 박사이기도 하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12/01.32115776.1.jpg)
그는 리츠로 연금보험보다 높은 수익을 거둘 수 있다고 주장하는 근거로 3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리츠는 투자금액에서 배당금이 발생하는데, 이 배당금을 재투자하여 복리 효과를 활용하게 되면 연금보험보다 40.98% 많은 금액을 모을 수 있다.
둘째, 동일 금액을 연금 배당 재원이라고 가정할 때 연금보험은 연금 수령시 약 4.3%의 배당률을 보이는 반면, 리츠는 6%의 배당률을 거둘 수 있어 10% 이상 높은 수익을 가져올 수 있다.
셋째, 연금보험은 연금 수령기간이 끝나면 원금과 연금이 소멸하게 되지만, 리츠의 원금과 배당금은 소멸하지 않는다.
저자는 특히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리츠에 투자하면 시세차익과 함께 상대적으로 높은 배당률까지 챙길 수 있다는 점을 리츠 상품의 매력으로 꼽았다. 그는 “물론 일반 주식처럼 거래되기 때문에 투자에 따른 매매손실을 입을 수도 있지만, 이러한 문제는 장기 투자를 통해 해소할 수 있는 데다 리츠 주가가 쌀 때 투자하면 오히려 배당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기회”라고 강조했다.
리츠는 국내 주식시장에서 2001년 도입됐다.하지만 상장 리츠의 투자자 보호 문제가 불거지면서 ‘암흑기’를 보내다가 2018년 국토교통부의 부동산시장 안정화 노력과 리츠업계의 성장전략이 맞물리면서 부흥기를 맞았다.
이 책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리츠를 중심으로 리츠의 현황을 자세하게 소개하면서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투자전략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리츠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대한 기본개념과 함께 서울 및 수도권의 주요 거점별 리츠 투자 빌딩을 지도(Map)를 곁들여 소개함으로써, 리츠를 잘 몰랐던 일반투자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 상장되어 있는 리츠와 상장을 앞둔 리츠에 대해 집중 분석한 부분을 읽으면 주식 개별종목을 공부하듯이 리츠의 세계를 들여다 볼 수 있다.
저자는 “이 책이 성공적인 리츠 투자를 100% 담보할 수는 없다”며 “다만 리츠 투자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리츠에 대한 친근감이 생겨 5,200만 전 국민이 모두 ‘1인 1리츠’에 투자하는 날을 하루라도 빨리 당겨 보는 것이 간절한 바람”이라고 말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