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82.52

  • 46.00
  • 1.74%
코스닥

844.72

  • 4.74
  • 0.56%
1/3

영빈관에 상춘재까지…돌고돌아 결국 청와대 [여기는 대통령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영빈관에 상춘재까지…돌고돌아 결국 청와대 [여기는 대통령실]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국가 손님을 맞이할 영빈관을 신축하기가 쉽지 않다. 그나마 청와대를 활용하는 게 가장 실용적이다. ”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최근 청와대에서 대통령 주재 공식 행사가 자주 열리는 것에 대해 “앞으로는 더 다양한 행사가 열릴 것”이라며 이같이 설명했다. 대통령 집무실은 용산으로 옮겼지만, 국빈을 초청하는 행사나 보안이 필요한 회의 등은 여전히 청와대 건물을 활용하겠다는 의미다.

실제 윤 대통령은 지난 한 주 동안 청와대에서 세 차례 공식 행사를 가졌다. 지난 5일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국가주석과 국빈 만찬을 영빈관에서 개최한 데 이어 다음날(6일)엔 상춘재에서 푹 주석과 재차 차담회를 가졌다. 지난 8일엔 김건희 여사와 함께 월드컵 국가대표팀을 영빈관에 초청해 환영 만찬을 열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번 달에도 청와대를 활용하는 대통령 행사가 잇따를 것”이라고 귀띔했다.


윤 대통령은 집무실을 용산으로 옮기고 청와대를 일반 국민에게 개방한 후 한동안 청와대를 찾지 않았다. 취임 뒤 첫 주요 행사였던 한미 정상회담 만찬은 대통령실 청사 인근의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렸다. 이어진 외빈 행사는 용산 대통령실이나 호텔 등에서 치렀다.

그랬던 윤 대통령이 청와대 건물을 다시 보게 된 계기는 영빈관 신축 계획이 무산된 이후부터다. 실무진이 장소 임대 비용과 경호 문제 등으로 청와대 영빈관을 사용해보자는 의견을 냈는데, 첫 손님이었던 푹 주석이 “한국식 건축의 전통을 체험할 수 있었다”며 크게 만족했다는 전언이다.

일반 국민들도 국빈 초청 행사 등으로 활용되는 장소를 직접 볼 수 있는 기회를 선호한다. 사방이 산과 돌담으로 둘러싸 있어 경호도 수월하다. 일주일에 한 번 관람객에게 개방하지 않는 요일(현재 화요일)엔 더 자유롭게 청와대를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은 여전히 “이럴 거면 왜 대통령실을 이전했냐”며(오영환 원내대변인) 날을 세운다.

윤 대통령은 필요한 경우 한남동 대통령 관저도 귀빈 행사로 적절히 활용하겠다는 의사를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방한한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겸 총리를 초청한 장소가 한남동 관저다. 언론 등에 공개되지 않은 조용한 곳을 선호한다는 빈살만 왕세자의 취향을 파악한 실무진이 고심 끝에 관저를 회동 장소로 제안했고, 윤 대통령이 흔쾌히 수락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다소 긴장했던 빈살만이 윤 대통령과 40여분간 단독회담을 한 후 긴장을 풀더라”며 “필요한 경우 관저도 귀빈 행사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전했다.

좌동욱 기자 leftking@hankyung.com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