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01.24

  • 20.61
  • 0.83%
코스닥

677.01

  • 3.66
  • 0.54%
1/3

[데스크 칼럼] 中에도 할 말은 다 해야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1592년 임진년 4월 조선을 침략한 왜군은 압도적인 전력으로 4시간여 만에 부산진성을 부수고 동래성으로 향했다. 왜군은 동래성 남문에 여덟 자가 적힌 목패를 세웠다. ‘싸우려면 싸우고 싸우지 않으려면 길을 빌려달라(戰則戰矣 不戰則假道).’

한마디로 싸울 자신이 없으면 그냥 항복하라는 회유였다. 동래부사 송상현의 답은 여섯 자로 더 짧았다. “싸워서 죽는 것은 쉽지만 길을 빌려주기는 어렵다(戰死易 假道難).”

‘기백(氣魄)’이란 이런 것이다. 현실적이고 물질적인 강약을 뛰어넘는 게 정신이다. 동래성은 결국 함락됐지만, 끝내 조선이 무너지지 않은 것도 이런 의지가 있었기 때문이다.
선 넘은 北 미사일 도발
지금 한반도는 휴전 상태다. 전쟁을 잠시 멈추고 있다는 얘기다. 이 상황을 남과 북의 대결로만 보는 시각은 없다. 북한 뒤에는 중국이, 한국 뒤에는 미국이 있다. 조태용 주미대사는 최근 워싱턴 특파원의 간담회에서 “북한이 전례 없는 수준의 도발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가장 많이 발사한 때가 25발을 쏜 2019년이었는데 올해만 벌써 63발째 발사했다. 지난 9월 하순부터 지금까지 쏜 것만 32발이다.

물론 이태원 참사 애도 기간에도 미사일을 쏘는 것은 기백과는 거리가 멀다. 그러나 대적해야 하는 입장에서는 이런 막가는 상대가 더 까다롭게 느껴질 수밖에 없다.

너무 익숙해져서 별다른 감흥을 못 느끼지만, 북한은 세계 최강대국인 미국에도 거리낌 없이 할 말을 쏟아낸다. 박정천 북한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은 지난달 한·미 연합공중훈련과 관련해 “끔찍한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며 미국을 위협했다. 그렇다면 한국은 과연 중국에 이런 직설적인 발언을 할 수 있을까. 경제 의존도가 높다는 것은 물론 이해하지만, 우리가 지나치게 중국에 끌려다닌 측면이 있다는 것을 부인하기 힘들다.
당당한 목소리 필요
2000년 마늘 파동부터 2002년 동북공정, 2005년 김치 파동에 이어 2017년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사태까지 어떻게 보면 굴욕의 연속이었다. 사드 논란은 이번 정부 들어서도 계속됐다. 8월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한국 정부가 정식으로 대외에 ‘3불1한(3不1限)’이라는 정책을 발표했다”고 주장했다. 3불1한은 한마디로 사드 등 미국과 군사 협력을 하지 않는다는 게 핵심이다. 중국의 발언은 속국에나 요구할 수 있는 내정간섭 수준이다.

다행히 이번 정부는 다른 것 같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달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에 북한이 무기 개발을 중단할 수 있도록 영향력을 행사할 능력과 책임이 있다”고 밝혔다. 북한 도발에 대한 중국의 책임론을 제기한 것이다. 민감한 대만 문제에 대해서도 직격탄을 날렸다. 윤 대통령은 “대만의 현 상황을 일방적으로 바꾸려는 어떤 시도에도 단호히 반대한다”고 했다. 이런 발언을 했지만 중국에서 어떤 공식적인 반응도 나오지 않았다.

만만하게 보이면 만만한 대우를 받는다는 게 정글 같은 국제사회의 법칙이다. 북한이 핵과 중국 뒷배를 믿는다면 우리에게는 한·미 동맹이 있다. 지레 움츠러들지 말고 더 당당하게 목소리를 내야 한다. 고립무원 남한산성에서 화친과 결사 항전을 고민해야 할 때와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