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11/01.31926961.1.jpg)
“이 작품 속에 너무나 많은 수수께끼와 퀴즈를 감춰뒀기 때문에, 앞으로 수 세기 동안 대학교수들은 내가 의미하는 바를 말하느라 분주할 것이다. 이것이 나의 불멸을 보장하는 유일한 길이다.”
제임스 조이스는 1922년 출간된 소설 <율리시스> 서문에 이렇게 적었습니다. 그의 예언대로 이 작품은 어렵기로 유명합니다.
이 책을 번역한 김종건 고려대 명예교수는 무려 반 세기 동안 조이스의 문학 세계를 연구했습니다. 김 교수를 비롯한 '한국 제임스조이스 학회' 회원들은 2002년부터 <율리시스> 읽기 모임을 시작해 2014년까지 10년이 넘도록 매달 1회 4시간씩 이 소설을 나눠 읽었습니다. 작품의 숨겨진 뜻을 두고 토론도 벌였습니다. 김 교수는 이곳에서 나눈 이야기를 번역 작업에 반영했습니다. 조이스의 예언처럼요.
<율리시스>는 100년간 숱한 대학교수와 영문학도들을 괴롭혀왔습니다. 그런데 허망하게도 소설은 단 하루 동안 벌어진 이야기입니다. 주인공은 신문사 광고부 사원인 리오폴드 블룸. 소설은 아일랜드 더블린을 배경으로 1904년 6월 16일부터 다음날 새벽까지 블룸의 행적을 좇습니다. 블룸은 우체국, 공동묘지, 신문사, 박물관 등을 배회합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11/01.31928002.1.jpg)
한국어 번역본 기준으로 분량은 900쪽이 넘습니다. 제목부터 대서사시의 기운을 풍기죠. ‘율리시스’는 ‘오디세우스’의 라틴어식 이름입니다. 오디세우스는 트로이전쟁 이후 고향 이타카로 돌아가는 길에 10여 년간 바다를 떠돌았습니다. 호메로스의 대서사시 <오디세이>가 오디세우스의 방랑생활을 그렸다면, <율리시스>는 끝을 알 수 없는 블룸의 머릿속을 헤맵니다. 이른바 '의식의 흐름' 기법이죠.
소설 속에는 셰익스피어의 작품, 기독교 성경, 더블린의 실제 장소 등이 뒤엉킵니다. 형식도 종잡을 수 없어요. 어느 대목은 시나리오처럼 전개되다가 어느 대목은 시처럼 흐릅니다. 마지막 제18장이 유명합니다. 장 전체가 아내 몰리의 독백 혹은 회상이거든요. “그래요(Yes)”에서 시작해 “그래요(Yes)”로 끝나는 이 장은 쉼표나 마침표 하나 없이 약 4만 단어가 쭉 이어집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11/01.31928292.1.jpg)
조이스는 이 책을 둘러싼 소동에 개의치 않았습니다.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율리시스>가 읽기에 적절하지 않다면, 인생은 살기에 적절하지 않은 겁니다.” '원래 인생이란 게 알 수 없는 거다'는 의미죠. 깊이를 알 수 없는 바다처럼, 인생은 단 하루조차 간단하게 해석되지 않습니다. 어떤 하루는 10년의 방랑만큼 고단하고 또 치열합니다.
수수께끼처럼 알쏭달쏭한 매력 덕분일까요. 더블린 사람들은 요즘도 6월 16일을 ‘블룸스데이’로 기념한다고 합니다. 매년 이날이 되면 블룸이 방문한 작품 속 장소를 찾아가는 ‘성지순례’를 하고, 관광객도 몰린다고 하네요.
그런데 이 날짜에는 비밀이 있습니다. 6월 16일은 조이스가 길거리에서 우연히 만난 노라라는 여인과 첫 데이트에 성공한 날입니다. 훗날 두 사람은 결혼해 부부가 됐죠. 수 세기 동안 살아남을 단 하루는 사실 조이스의 사랑이 시작된 날이었습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11/01.31928057.1.jpg)
올해는 <율리시스> 출간 100주년이죠. 이를 기념해 서울 청담동 소전북아트갤러리에서는 내년 3월까지 율리시스 아트북 전시회가 열립니다. 앙리 마티스가 삽화를 그린 1500부 한정판 <율리시스>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전시회에 가실 분은 전시장에 마련된 '몰리의 방'에 꼭 들어가보시길 권합니다. 사방의 벽, 천장, 바닥까지 앞서 말씀드린 <율리시스> 제18장의 문장으로 채워진 공간입니다. 이곳에 들어서면 마치 책 속에 들어가 서 있는 기분을 느낄 수 있습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