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16.86

  • 2.00
  • 0.08%
코스닥

685.42

  • 3.86
  • 0.57%
1/3

[연극 리뷰] '극동 시베리아 순례길', 얼마나 난해하길래 관객이 뛰쳐나갔을까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코로나19가 휩쓸고 지나간 3년. 우리가 기다리는 ‘고도’는 언제 올까. 노벨문학상을 받은 아일랜드 극작가 사무엘 베케트가 쓴 ‘고도를 기다리며’(1952)는 ‘고도’라는 실체가 없는 인물을 두 사람이 하염없이 기다리는 내용의 부조리극(인간과 삶의 부조리를 소재로 한 연극)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자유와 평화를 찾는 인간 존재의 막막함과 황망함을 그렸다.

연극 ‘극동 시베리아 순례길’(사진)은 ‘고도를 기다리며’를 오마주한 작품이다. 코로나19 시대에 사라져버린 ‘고도’를 찾는 내용이다. 국립극단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공동 제작한 이 연극은 지난해 백상예술대상 젊은연극상을 수상한 정진새 작가 겸 연출가의 신작이다. 지난달 20~23일 광주광역시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예술극장에서 공연한 뒤 지난 2일 서울 국립극단 백성희장민호극장으로 무대를 옮겼다.

작품은 미래에 시베리아를 횡단하는 ‘그’와 이를 지켜보는 기후연구원 ‘AA’와 ‘BB’의 이야기다. 두 연구원은 기후탐사선에서 위성을 통해 산티아고 순례길과 반대 방향인 극동 시베리아 방향으로 걷는 ‘그’를 관찰한다. 사람들이 걷는 길보다 힘들고 추운 길을 자진해서 걷는 ‘그’는 곧 글로벌 스타가 된다. ‘그’가 가는 코스를 구현한 시베리아 순례길이 온라인 게임으로 만들어질 정도다. 하지만 ‘그’는 작품이 끝날 때까지 형체만 보일 뿐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 대사도 없다.

어렵고 불친절한 연극이다. 도대체 ‘그’가 왜 반대 방향으로 걷는지, 친절하게 이해시킬 생각조차 하지 않는다. 50번 넘게 반복되는 암전은 이야기의 흐름을 뚝뚝 끊는다. 작품과 무대의 빈 공간을 관객이 상상력으로 채워야 하는 공연이다. 100분에 달하는 러닝타임 내내 관객이 머리를 싸매고 고민해야 한다. 이런 실험극에 익숙하지 않다면 십중팔구 엉덩이를 들썩이게 된다. 정진새 연출가는 “광주 첫 공연 때는 중간에 나간 관객들도 있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관객을 고민하게 만드는 게 이 연극의 의도다. 코로나19란 재앙이 전 지구를 휩쓸고 간 이 시대에 인간이 그간 쌓아온 믿음이나 운명이 유효한지, 현실세계의 기반이 무너진 온라인 시대에 인간은 무엇을 할 수 있을지 등의 질문을 관객 스스로 던지게 만든다. 이 연극이 오마주한 ‘고도를 기다리며’도 1953년 프랑스 파리에서 초연됐을 땐 ‘도무지 이해가 안 된다’는 혹평에 시달렸다고 한다. 공연은 오는 27일까지.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