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피는 순서대로 쓰러진다."
최근 지방대 위기를 함축적으로 나타내는 말이다. 학령인구 감소와 수도권대학 선호 현상으로 지방대학 다수는 전례 없는 위기에 봉착했다.
2일 개막한 ‘글로벌인재포럼 2022’의 ‘대학과 지역성장의 선순환 구조’ 세션에서는 이러한 지방대학들의 고충과 혁신안에 대한 열띤 토론이 이이졌다. 연사들은 “대학이 지역과 함께 성장해야 혁신할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강재관 경남대 산학부총장은 지역 기업들의 일자리 미스매치를 줄이기 위해서는 ‘일머리’ 중심으로 대학 교육이 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단순한 지식 전달 위주의 교육보다 문제 해결 과정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프로젝트기반학습(Project Based Learning·PBL)을 전면 도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PBL은 미국의 ‘강소대학’으로 꼽히는 올린공과대학이 도입하면서 유명해진 교육 방법론이다. 이 학교의 학부생 총원은 400여명에 불과하지만, 최근 공대교육 보고서 인용 1위에 오를 정도로 미국 내에서 가장 혁신적인 대학으로 꼽힌다.
강 부총장은 “지역의 중소기업에 필요한 인재를 대학이 제대로 주지 못했는지 반성해 볼 필요가 있다"며 "경남대 역시 PBL을 대학 전체로 확산하면서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했다.
국·공립대 총장협의회장을 지낸 최병욱 전 한밭대 총장은 "앞으로 대입자원이 20만명인 시대에 대비하려면 국가적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했다. 한국의 고등교육 공교육비 수준은 약 1만1000달러 수준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평균인 1만7065달러에 한참 미치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최 전 총장은 "지원 뿐만 아니라 한계대학들을 정리하는 과정도 필요할 것"이라며 "고통스럽지만 연착륙을 위해서는 대학과 지역사회 모두가 고통을 감내해야 한다"고 했다.
아리타 신 도쿄대 사회과학연구소 교수는 일본 지방대학과 지역 사회와의 상생 사례를 모범 사례로 설명했다. 2009년 일본 미에대학은 나고야 지역 기업들과 협력한 인적자원 개발 프로젝트를 실시했다. 박사학위를 갖춘 관리자급 인원 100여명을 배출해 기업들의 경쟁력을 높이자는 목표였다.
아리타 교수는 "일본 중소기업들은 사내 교육 기능이 부족해 대기업 대비 경쟁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며 "지역 대학과 기업의 협력은 지역 대학에 대한 기업의 신뢰도를 높이면서 훌륭한 인적자원을 길러내는 계기가 됐다"고 분석했다.
이날 좌장으로 나선 김헌영 강원대 총장은 "지방자치단체와 산업체, 시민사회와 함께 지역에 맞는 인재를 길러내고, 지역 현안까지 해결하는 ‘지역 참여형’ 대학이 지방대가 나가야 할 미래"라고 강조했다.
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