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17.08

  • 65.49
  • 2.64%
코스닥

689.65

  • 20.87
  • 2.94%
1/3

르노, 닛산 지분 43%→15%로…전기차 투자금 7조원 확보 [정영효의 일본산업 분석]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프랑스 자동차 기업 르노가 일본 닛산자동차 지분율을 43%에서 15%로 낮춘다. 닛산이 보유한 르노 지분율(15%)과 같아지면서 르노와 대주주인 프랑스 정부가 주도권을 쥐던 지배구조가 20여년 만에 대등해 질 전망이다. 르노는 7조~8조원에 달하는 전기차 투자자금을 마련할 수 있게 됐다.

블룸버그통신은 르노가 닛산 보유지분을 43%에서 15% 수준으로 낮추는데 합의했다고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르면 이번 주 두 회사가 합의하고, 다음달 15일 기업설명회에서 정식 발표할 계획이다. 르노가 닛산 지분을 줄이면 닛산은 르노의 전기차 자회사 지분을 15%가량 사들일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루카 드 메오 르노 최고경영자(CEO)도 이날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르노와 닛산의 관계를) 보다 대등하게 만들 필요가 있다"며 보유지분을 닛산과 같은 수준까지 낮출 것임을 시사했다.

르노는 1999년 경영난에 빠진 닛산 지분 37%를 6000억엔(약 5조8508억원)에 사들였다. 2002년 지분율을 43%까지 늘렸고, 닛산도 르노 지분 15%를 인수했다. 2016년 닛산이 미쓰비시자동차 지분 34%를 사들이면서 르노·닛산·미쓰비시자동차 연합이 결성됐다.

세 자동차 회사가 표면적으로 '자동차 연합'의 틀을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프랑스 정부와 르노가 자동차 연합의 주도권을 쥐는 구도였다. 프랑스 정부는 르노 지분 15%를 갖고 있다. 프랑스 정부는 2014년 상장사 주식을 2년 이상 보유한 주주에게 의결권을 두배로 인정하는 프로랑쥬법을 제정했다.

프로랑쥬법으로 르노의 실질 의결권을 30%로 늘린 프랑스 정부는 자국산업의 보호·육성을 명분으로 르노의 일본 연합사인 닛산을 영향력 하에 두려는 시도를 계속해 왔다. 2019년에는 르노와 닛산의 합병을 제안해 일본 측의 반발을 샀다.

반면 닛산은 프랑스법에 따라 보유지분 15%의 의결권을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르노가 닛산 보유지분을 40% 미만으로 낮추면 닛산의 의결권도 되살아난다. 르노가 닛산의 임원 지명권을 갖는 점도 닛산이 오랫동안 르노에 대응한 관계 구축을 요구한 이유다.

지난해 닛산의 세계 판매량이 407만대였다. 르노는 270만대에 그쳤다. 매출과 판매량에서 열세인 르노의 영향력이 더 크다는 점 역시 닛산이 자동차 연합의 관계를 불만스러워 한 원인으로 지적된다.

르노가 20년 만에 닛산 지분율을 대폭 낮추려는 이유는 경영난과 전기차 전환 계획에 따른 자금난이다. 르노는 판매 부진으로 2020년까지 2년 연속 적자를 냈다. 지난해는 흑자로 돌아섰지만 올 5월에는 프랑스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시장인 러시아에서의 철수를 결정하는 등 자금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다.

여기에 르노는 2월 사업부를 내연기관 차량과 전기차로 분리, 전기차 기업으로의 본격 전환을 선언했다. 이를 위해서는 거액의 투자금이 필요하다. 르노가 닛산 지분을 매각하는 한편 닛산에 출자를 요청하게 된 배경이다. 프랑스 정부도 르노가 닛산 지분율을 낮추는 데 반대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르노가 닛산 지분 28%를 매각하면 약 6000억엔(약 5조7457억원)의 자금을 확보할 수 있다. 닛산은 르노의 전기차 자회사 지분을 사들이는데 약 5억~7억5000만달러(약 7135억~1조703억원)를 투입할 계획이다. 미쓰비시자동차도 르노 전기차 자회사에 비슷한 규모로 출자를 검토하고 있다. 지배구조 관계가 정리되면 르노는 7조~8조원의 자금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쿄=정영효 특파원 hugh@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