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지는 외화 조달 비용
16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지난 6월까지 국내 20대 은행의 외화 차입금 평균 잔액은 85조294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66조1411억원)보다 18조8883억원(28.5%) 급증했다.같은 기간 외화 차입금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광주은행이었다. 올 상반기 광주은행의 외화 차입금 평균 잔액은 3632억원으로 지난해(2286억원)보다 58.9% 증가했다. 이어 부산은행(53.3%) 국민은행(52.9%) 농협은행(35.6%) 우리은행(34.6%) 등 순이었다.
은행들의 자금 조달액 중 외화 차입이 차지하는 비중도 높아지고 있다. 국민은행의 외화 차입 비중은 지난해 2.7%에서 3.9%로 1.2%포인트 늘어난 반면 같은 기간 외화 예수금(예·적금) 비중은 0.27%포인트 증가(4%→4.27%)하는 데 그쳤다. 당연히 외화 차입은 예수금 유치보다 조달 비용이 더 든다. 그만큼 은행에서 외화를 빌리는 기업들의 이자 부담도 커질 수밖에 없다.
단기성 외화 차입금 역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올 상반기 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외화 콜머니 평균 잔액은 3조6201억원으로 작년보다 34.6% 늘었다. 외화 콜머니는 은행 간 외화를 초단기로 조달하는 거래를 말한다. 금융회사들은 수출입대금 결제, 외화 대출 등 대고객 거래에 따라 일시적으로 외화 자금이 부족할 때 외화 콜시장에 참여한다.
외화 유동성 리스크도↑
은행들이 이렇게 외화 차입금을 늘리는 것은 국내 기업들의 외화 자금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은행권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4대 시중은행의 외화 대출 평균 잔액은 83조5314억원이었다. 지난해 말(68조7406억원) 대비 21.5% 증가했다.수입 원자재 가격 상승과 무역수지 적자로 국내 기업들의 달러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관세청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10일까지 누적 무역적자는 327억1400만달러를 기록했다. 무역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56년 이후 최대 규모다.
일각에선 한·미 간 금리차 확대, 고환율 등으로 인해 외화 유동성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물론 은행과 금융당국은 “현재로선 걱정할 상황이 아니다”고 일축한다. 실제 지난 2분기 기준 국내 은행들의 외화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은 평균 123%로 최소 규제 비율(80%)보다 높은 수준이다. 수치상으로는 지난해 4분기(113%)와 올해 1분기(115%)보다 개선됐다.
고환율·고물가·고금리 등 ‘3고(高)’가 지속되고 무역적자 기조가 장기화하면 기업들의 외화 대출 연체율이 높아지면서 상황이 반전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은행 리스크관리 담당 부행장은 “달러가 비싸긴 하지만 구하기 어려운 상황은 아니다”면서도 “경상수지 적자와 해외 투자 손실 확대 등으로 외화 유동성이 악화할 가능성에 충분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했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