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약세가 이어지면서 코스닥 상장사 사이에서 주가 부양을 위한 ‘무상증자’가 줄 잇고 있다. 적자 기업들도 무상증자에 뛰어들고 있어 투자자들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1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7월 이후 무상증자 결정을 공시한 상장사는 20곳으로 집계됐다. 20곳 모두 코스닥 상장사다. 이들 기업 가운데 10곳이 지난해 영업손실을 본 적자기업으로 파악됐다.
이날 무상증자를 결정한 싸이토젠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 회사는 작년 128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지난달 무상증자를 결정한 아이윈플러스, 알체라 등도 작년 적자를 봤다.
문제는 무상증자가 자칫 투자자들에게 잘못된 투자 신호를 보낼 수 있다는 점이다. 통상적으로 무상증자로 주식을 발행할 때는 기업의 자본잉여금을 이용해 발행하는데, 무상증자를 결정한 기업은 그만큼 잉여금이 많아 재무구조가 건전한 회사로 인식되기 쉬워서다.
적자 기업이라도 기존 주식을 발행하면서 생긴 주식발행초과금 등을 이용하면 무상증자를 진행할 수 있다. 싸이토젠은 이날 주식발행초과금 58억원을 사용해 무상증자를 하겠다고 밝혔다. 지난달 무상증자를 결정한 아이윈플러스 역시 주식발행초과금 35억원을 이용했다.
전문가들은 무상증자가 주가 급등락을 유발한다고 지적한다. 지난 7월13일 무상증자를 결정한 카나리아바이오의 경우 무상증자 기대감에 4만5300원까지 올랐지만, 이후 하락세로 전환해 1만9400원까지 떨어졌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무상증자가 단기적으로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는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긍정적인 반응은 사라지고 오히려 주가가 떨어진다"며 "근본적인 기업 가치 변동이 없기 때문"이라고 했다.
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