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경제사학자 니얼 퍼거슨 스탠퍼드대 교수(58·사진)가 현재의 세계 경제가 오일쇼크에 부닥친 1970년대와 비슷하다는 진단을 내놨다. 전쟁과 경제위기, 시민사회 불안 등 비슷한 점이 많다는 분석이다.
퍼거슨 교수는 지난 2일 CNBC와의 인터뷰에서 “금융 충격과 정치적 충돌, 사회 불안 등이 1970년대의 특징인데 지금도 똑같은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며 “1970년대보다 더 심각한 위기가 오래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영국 케임브리지대와 옥스퍼드대를 거쳐 하버드대 교수를 지냈으며 스탠퍼드대 후버 칼리지 선임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둠> <문명> 등을 집필해 세계적인 경제사학자라는 명성을 얻었다. 중국과 미국의 공생관계가 세계 경제를 이끈다는 ‘차이메리카(차이나+아메리카)’라는 신조어도 만들었다.
퍼거슨 교수는 전쟁이 벌어지면서 경제 위기가 나타난다고 주장했다. 1973년 4차 중동전쟁이 발발하며 중동 산유국들이 자원을 무기화하기 시작했다. 세계 경제가 1차 오일쇼크에 부닥치며 시장이 요동쳤다. 물류비가 치솟으면서 세계 식량난이 심화하기도 했다. 소련과 미국 두 강대국의 힘겨루기도 이어졌다.
올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뒤 벌어진 상황도 비슷하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러시아가 천연가스 및 석유 등 에너지를 무기화하며 국제 유가가 치솟은 게 대표적이다. 퍼거슨 교수는 “과거보다 전쟁 기간이 더 길어지면서 에너지 위기로 인한 타격이 심각할 것”이라며 “당시에도 미국 정부는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금리를 올렸고, 러시아 에너지 의존도를 낮추려는 정책을 펼쳤다”고 설명했다.
전쟁이 발발하기에 앞서 나타난 전조 증상도 과거와 비슷하다고 했다. 오일쇼크가 벌어지기 전인 1960년대 미국의 경제정책이 실패한 게 지난해와 비슷하다는 것이다. 그는 “2021년 통화·재정 정책의 실책은 1960년대 정책 실패를 연상시킨다”며 “통화정책으로 인플레이션이 억제되지 않는 점도 같다”고 했다.
1960년대 미국 중앙은행(Fed)의 통화정책은 실패했다. 1951년부터 1970년까지 Fed를 이끌었던 윌리엄 마틴 의장은 금리를 급격히 인상했다. 통화 긴축으로 인한 저성장과 실업률을 감수하고서라도 인위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려는 정책이었다. 그러나 시장 안정화는 실패했고, 1979년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13%까지 치솟았다.
퍼거슨 교수는 1970년대보다 지금이 더 심각하다고 경고했다. 2020년대가 1970년대에 비해 국가 부채는 더 늘었고 초강대국 사이의 긴장이 완화될 가능성이 적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적어도 과거에는 소련과 미국의 갈등이 진정될 방안이 있었다”며 “지금은 워싱턴(미국)과 베이징(중국) 사이에서 그 어떤 가능성도 보이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오현우 기자 ohw@hankyung.com
뉴스